윤석열 대통령 퇴임 시계
 
 
모자이크
다크모드
58.1%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한 2022년 5월 10일부터 2025년 5월 4일 오늘까지
 
 
 
오늘은 파면 31일차입니다.

임기 공유하기 윤타임 방문자 수
      오늘 75 명 / 어제 1,175 명
누적 847,065 명



윤석열 대 윤석열

윤석열 대 윤석열(윤적윤) 메뉴는 윤석열 대통령 또는 윤석열 정권 주요 인물의 발언 중 자신의 과거 언행과 모순된 내용을 건전하게 비판함으로써, 윤 대통령이 보다 일관된 국정운영 해 나갈 수 있도록 동기부여 하는 데에 목적이 있습니다. 윤 대통령이 임명한 정부 관계자의 발언도 포함됩니다. 윤석열 대 윤석열에 추가하고 싶은 내용이 있으면 관련 자료를 윤타임 이메일 yoontime.kr@gmail.com 으로 보내주세요.



2024년 12월 7일의 윤석열 vs. 2024년 12월 17일의 윤석열

"저는 이번 계엄 선포와 관련해 법적·정치적 책임 문제를 회피하지 않겠습니다."

탄핵심판 서류도 소환 통보도 다 반송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952071?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4/0001394388?sid=102
대국민 담화를 통해 이번 계엄 선포와 관련해 법적·정치적 책임 문제를 회피하지 않겠다고 공언했던 윤석열 대통령.... 하지만 탄핵심판을 위한 송달 서류나 수사를 위한 소환 통보 수령을 일체 거부한채 지연 전술을 쓰고 있는 상황입니다. 공조수사본부(경찰·공수처·국방부)의 대통령실 경호처 서버 압수수색도 약 7시간 대치 끝에 불발됐습니다. 이 인간은 자신이 어떤 말을 하는지, 그 말이 사실인지, 자신이 지킬 수 있는지, 전혀 신경쓰지 않고 그저 나오는대로 나불대는 것 같습니다.


2024년 9월 17일의 윤석열 vs. 2024년 10월 3일의 윤석열 정권 국방부

"잘 먹어야 훈련도 잘하고, 전투력도 생기는 법"

내년 병사 급식단가 3년째 동결... 간식, 특식 예산은 삭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933911?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324129?sid=100
국방부가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내년 정부 예산안에 반영된 병사 기본급식 사업 내역에 따르면, 물가 인상을 따라잡지 못해 인상이 요구된 병사 기본급식비 단가는 한 끼 4,333원으로 윤석열 정권이 들어선 후 3년째 동결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병사들에게 지급되던 증식(간식)비 단가는 4000원에서 3000원으로 오히려 줄였습니다. 국군의날과 설날, 추석에 나오던 단가 3000원의 경축일특식 예산은 내년부터 아예 없애기로 하고 예산을 전액 삭감했습니다. 병사들의 경축일 특식은 과거 교도소 재소자들보다도 횟수가 적다는 비판을 받았는데 이제 아예 사라지게 된 것입니다.

대한민국 육군 병사들을 교도소 재소자만도 못하게 취급하면서, 앞에서는 "잘 먹어야 훈련도 잘하고, 전투력도 생기는 법"이라며 엄청 위해주는 척 위선을 떨고 있었던 거죠.


2024년 10월 1일의 윤석열 vs. 2024년 9월 26일의 윤석열 정권 국가보훈부

"피와 땀으로 자유 대한민국을 지켜주신 참전용사 여러분께 존경과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참전용사 생계지원금 내년 예산 77억원 삭감

https://www.ytn.co.kr/_ln/0101_202410011044548588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322916
이건 뭐...볗신ㅅhㄲi라고밖에는.... 해석이 안 되네요.


2024년 9월 9일의 한덕수 국무총리 vs. 2022년 8월 25일의 윤석열

"응급실 뺑뺑이, 前 정부들도 책임있다."

“더이상 ‘전 정권 잘못’ 핑계는 국민에게 통하지 않는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390380?sid=100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12163?sid=100
테러범들이 인질들의 목숨을 볼모잡았습니다. 일차적으로 나쁜 건 테러범입니다. 명백하죠. 하지만 테러범과의 협상은 없다며 아무 전략 없이 교전하다가 인질들이 아군의 총에 맞고, 테러범이 터뜨린 폭탄에 희생되고 있다면 그건 누구의 잘못입니까? 테러범만의 잘못인가요?

2002년 10월 23일 러시아 모스크바의 오페라 극장을 체첸 반군이 점거하여 700여명의 인질을 잡고 농성하자 러시아 특수부대가 신경가스를 투입하며 진압에 나선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때 러시아 특수부대가 터뜨린 신경가스는 당초 체첸 반군을 무력화시키기 위한 목적이었으나 펜타닐 계통의 마약성 마취제 성분 때문에 인질 700여명 중에 67명이 현장에서 사망했고. 병원후송 과정과 후에 추가 사망이 더해져서 140여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벌어졌습니다.

윤석열 정권이 의료개혁을 하겠다며 6개월 넘게 벌이고 있는 짓을 보면 러시아의 저 어처구니 없는 인질구출작전이 생각납니다. 자신들의 무능은 깨닫지 못하고 궁색하게 대는 게 또 다시 전 정권 핑계입니다. 전 정권 핑계는 국민에게 통하지 않는다고 윤석열 대통령이 뚫린 입으로 얘기하지 않았습니까?


2024년 8월 29일의 윤석열 vs. 2024년 8월 28일의 윤석열

"애국자의 유족들이 모인 단체에 대해서 뭐 보복하고 이럴 일이 뭐 있겠습니까."

보훈부, 광복회 예산 20% 삭감

https://v.daum.net/v/20240829153155221   https://v.daum.net/v/20240828165813492
윤석열 대통령은 2024년 8월 29일 대국민 기자회견에서 최근 광복절을 전후하여 빚어진 광복회와의 갈등과 관련하여 예산 삭감이나 감사 추진 등이 보복성 조치가 아니냐는 지적에 대하여 "애국자의 유족들이 모인 단체에 대해서 뭐 보복하고 이럴 일이 뭐 있겠습니까." 라며 부인했습니다.

하지만 보훈부는 광복절 갈등 후 보름도 지나지 않아, 있지도 않은 기재부 예산 지침을 핑계로 광복회 예산을 20%(6억원) 삭감했습니다. 그리고 보훈부는 대변인실 관계자는 “광복회가 정치적 중립을 위반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있는 단계”라며 “아직 감사나 고발하는 단계는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돌려 말하면, 자신들이 중립 위반이라 판단내리면 감사나 고발을 하겠다는 뜻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MBC는 '뉴스데스크' 클로징멘트를 통해 다음과 같이 비판했습니다.

“먼저 저와 정부부터 바꾸겠다. 국회와의 소통과 협업을 적극 늘려나가겠다. 저와 정부를 향한 어떤 질책과 꾸짖음도 겸허한 마음으로 더 깊이 새겨듣겠다....누가 한 이야기 같습니까? 지난 총선에서 여당이 참패한 뒤 대통령이 내놓은 대국민 메시지입니다. 그런데 그 후로 100일 정도밖에 안 됐는데 질책을 새겨듣겠다던 대통령은 반국가 세력을 거론하고, 정부는 친일적 역사관을 문제 삼는 광복회에 대해 감사까지 운운하고 있습니다. 라면 유통 기한도 100일보다는 훨씬 깁니다."


2021년 12월 29일의 윤석열 vs. 2024년 8월 6일의 윤석열 정권의 검찰

"야당 국회의원 통신자료 조회는 게슈타포나 할 일, 국민과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암적 요소"

"대통령 명예훼손 수사를 위해 야당 국회의원 등 3천명 통신자료 조회한 것은 적법한 수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119224?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4/0001366112?sid=100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는 2024년 8월 2일 ‘통신이용자정보 제공 사실 통지’라는 문자메시지를 통신 조회 대상자들에게 일제히 보냈습니다. 윤 대통령의 검사 시절 ‘부산저축은행 비리 부실수사 의혹’을 보도한 기자들과 통화한 언론인,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 야당 정치인이 대거 포함됐습니다. 이들뿐 아니라, 해당 보도를 한 기자의 친인척과 학교 동문 등 보도와 전혀 관련이 없는 시민들까지 통신 조회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번 통신 조회 대상자가 무려 3천명에 이른다는 보도까지 나왔습니다. 대상과 규모가 전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방대한 규모입니다.

검찰은 대통령 명예훼손 사건 수사를 위한 적법한 통신조회라고 주장했지만, 윤석열 대통령은 자신이 대선 후보 시절인 2021년 12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자신과 김건희 여사, 국민의힘 의원 등 135건의 통신 자료를 조회한 사실이 드러나자, “독재 시절에나 하던 짓”, “정치 사찰”, “국민에 대한 사찰”이라고 강하게 비난한 바 있습니다. 또한 그와 같은 통신자료 조회를 "불법사찰"이라고 규정하며 국민과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암적인 요소라고 규탄했습니다.

네, 맞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국민과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암적인 요소임이 확실합니다. 이것은 수사를 가장한 야당 탄압이며, 대한민국을 '빅 브라더'가 지배하는 공포사회로 만들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자신이 한 말입니다.


2024년 5월 14일의 윤석열 vs. 2024년 5월 23일의 윤석열

"노동 약자를 국가가 더 적극적으로 책임지고 보호하겠다."

"실업급여 최대 50% 삭감"

https://v.daum.net/v/20240514112521655   https://v.daum.net/v/20240523143324442
고용노동부는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임시직 비중이 높고 근속기간이 짧아 반복수급이 광범위하게 나타날 수 있는 구조이긴 하다"면서도, 어쨌든 부정수급을 막기 위해 자주 실업자가 되는 노동자는 부정수급자로 간주하겠다고 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노동약자를 '책임지고' 보고하겠다는 말이 참 공허하네요. 애시당초 자기가 무슨 말을 하는지 이해는 했으려나 싶긴 합니다만...


2023년 6월 27일의 윤석열 vs. 2024년 5월 17일의 윤석열 정권 과기정통부

"양자기술에 3조 투자하여 퀀텀경제 시대 열겠다."

양자 프로젝트 예산 대폭 삭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827740?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039202?sid=105
윤석열 대통령은 2023년 6월 2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 ‘퀀텀코리아 2023’ 행사가 진행되고 있는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퀀텀 플랫폼을 통해 기술이 갖고 있는 본래의 경제적 가치를 넘어 다양한 부가 가치가 창출되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이에 대한 전폭적인 R&D 투자를 약속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양자 분야를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하나로 선정하고, 기초연구와 산업·응용에 정부가 2조4000억원, 민간이 6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1년이 지난 지금은 어떨까....

1조원 규모' 대형 R&D(연구·개발) 프로젝트로 시작한 양자기술 프로젝트의 예산이 1년여간의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치며 약 3250억원 수준으로 깎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초 요구 예산의 3분의 1도 채 되지 않는 규모이며, 작년 윤석열 정부가 투자를 약속한 2조4000억원 기준으로는 86.5%가 삭감된 셈입니다. 참고로, 청와대의 용산 이전에 따른 수반 비용이 1조원이 넘습니다.


2020년 10월 22일의 윤석열 vs. 2024년 5월 14일의 윤석열

"검찰 인사안을 대통령이 다 짜놓고 검찰총장 논의 없이 그런 식으로 인사하는 법은 없다."

"검찰총장 말 한마디에, 준비된 인사를 안 할 수 있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54528662593554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564720?sid=100
이원석 검찰총장은 5월 2일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의 디올백 수수 의혹과 관련해 전담수사팀 구성과 ‘신속·엄정 수사’를 지시했습니다. 그로부터 불과 9일만에 해당 수사를 지휘하던 검사장을 모두 교체하는 인사안이 발표됩니다. 이 총장은 인사를 늦춰달라고 요청하지만, 법무부장관은 그 요청을 일축해버렸습니다.

정작 윤석열 대통령은 자신이 검찰총장이던 2020년에 추미애 당시 법무부장관의 검찰 인사에 대하여 '검찰총장 협의없는 인사'이고 검찰청법 제34조 규정 위반이라며 강력 반발한 바 있습니다. 검찰총장의 의견을 무시한 이 같은 인사에 대해 주호영 자유한국당(현 국민의힘) 의원은 “살아 있는 권력에 대해서 수사의 칼날이 이제 점점 가까이 다가가니까 그것을 막기 위한 것이 아니겠냐” 라고 일침을 놓았는데요.

급작스레 이뤄진 이번 검찰 인사가 그냥 평범한 정기 인사였는지, 아니면 김건의 여사의 범죄 혐의점 수사를 막기 위한 방탄 인사인지는 국민 여러분이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2024년 2월 7일의 윤석열 vs. 2024년 2월 7일의 윤석열

"아내하고 뭐 이런저런 얘기를 많이 하는 편입니다."

"늦게 들어와 일찍부터 일하고 하다 보니 대화를 많이는 못 합니다."

https://v.daum.net/v/20240209100013623   https://v.daum.net/v/20240209100013623
2024년 2월 7일 녹화 방송된 KBS 특별대담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한 발언입니다. 다른 날, 다른 장소에서 한 발언이 아니라, 그냥 한 날 한 시에 서로 모순된 발언을 한 건데요.

이건 결국 '거짓'과 '어리석음'의 콜라보레이션 산물출입니다. 있는 모습 그대로의 사실을 이야기 하기 보다 자신이 비쳐지고자 하는 모습을 꾸며내기 위해 그때 그때의 질문에만 부합하는 답변을 만들어내다 보니, 답변과 답변이 서로 말이 안되는 결과가 발생합니다. 똑똑하기라도 하면 그런 답변의 불일치를 스스로 필터링해서 어느 정도 보정을 하겠지만, 윤 대통령은 대학생 때 부친으로부터 고무호스로 많이 맞아서인지(그것도 머리를 집중적으로 맞은 듯?) 몇 분 전의 자신의 발언도 전혀 기억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비슷한 사례가 많아서 새삼 놀랍지도 않습니다만....


2024년 4월 1일의 윤석열 vs. 2024년 4월 2일의 윤석열

"2000명은 최소한의 증원 규모임을 다시 한번 말씀드린다."

“2000명은 절대적 수치가 아니며 2000이라는 숫자에 매몰되지 않겠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29/0000277768?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825752?sid=100
전국민에게 생중계되는 TV 담화에서 자기 입으로 분명히 "2000명은 최소한의 증원 규모"라고 못 박아 놓고선, 바로 다음 날 "2000명은 절대적 수치가 아니다"라는 정반대의 자가 해석을 내놓았습니다. '꿈보다 해몽이 좋다' 라는 속담을 갖다 붙이기에도 불가해한, 이 같은 정신분열증적 대통령이 내놓는 온갖 약속과 공약들을 도무지 어떻게 믿을 수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조심하세요. 웃으면서 칼을 휘둘러도 하등 이상하지 않은 사람이니까요.


2024년 1월 17일의 윤석열 vs. 2022년 9월 26일의 윤석열 정권

“연탄 3장으로 버티는 경로당 가슴 아파”

경로당 냉난방비 및 양곡비 지원 예산 삭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543076?sid=100   https://www.100ssd.co.kr/news/articleView.html?idxno=91276
표는 얻어야겠는데, 과거에 무슨 말 무슨 정책을 집행했는지 기억은 안나는 상황...


2024년 3월 15일의 윤석열 vs. 2024년 3월 11일의 윤석열

"총선, 공정·투명 선거 치러지도록 철저히 관리하라."

"올해 내내 민생토론회 진행하겠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392834?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680345?sid=100
수십 차례 민생토론회를 빙자한 지방 공약 발표회를 진행하면서 여당 지지율을 끌어올리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이 공정하고 투명한 총선이 될 수 있도록 하라고 당부했습니다. 과거 노무현 대통령이 여당 승리를 위해서 합법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라면 뭐든 하고 싶다고 말했다가 탄핵까지 당했는데요. 윤 대통령은 그냥 대놓고 총선 선거운동을 하고 다녀도 비판하는 언론이 거의 없네요. 900조원에 이르는 민생토론회 공약을 윤 정권이 어떻게 수습할지도 참 궁금합니다.


2023년 12월 26일의 윤석열 vs. 2024년 2월 16일의 윤석열

"해외순방이 곧 일자리 창출이자 민생이다."

"해외순방 연기는 국민 곁에 있겠다는 각오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47/0002416925?sid=100   https://v.daum.net/v/20240215114005754
자신의 (화려한) 해외순방이 곧 국민 일자리 창출이자 민생 그 자체이므로, 아무리 뻔질나게 해외순방 나가도 입도 뻥끗하지 말라던 윤석열 대통령입니다. 그랬던 그가 순방 일정을 불과 4일 남겨놓고 순방을 무기한 연기(혹은 취소)하는 외교 결례를 저지릅니다. 그러면서 한다는 소리가 "국민 곁에 있으려고"입니다. (그럼 그동안엔 국민 곁에 없었나?)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의대 증원 문제를 놓고 의료 공백이 우려되고, 체감 경기마저 악화된 상황에서 자리를 비울 수는 없다"는 건데요. 본인 논리대로라면 해외 순방이 곧 민생이자 일자리 창출이므로, 체감 경기가 악화되면 더 열심히 더 부지런히 해외 순방 나가야 되는 것 아닙니까? 그래야 일자리가 빵빵 생기고 민생이 좋아지는 거잖아요. 니 입으로 그렇게 말했잖아요.

하지만 자신의 해외 순방을 옹호하려고 말도 안 되는 이유를 갖다 붙였다는 사실이 이렇게 또 본인 입으로 증명이 됩니다. 대한민국 국민 참 힘들죠.


2024년 1월 1일의 윤석열 vs. 2024년 1월 25일의 윤석열

"새해에도 물가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배추(값이) 오르게 많이 힘 좀 쓰겠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361348?sid=100   https://youtu.be/B0xv9mlbWhw?t=51
"어떤 방패든 뚫을 수 있는 창"과 "어떤 창이든 막을 수 있는 방패"와 같이 병립할 수 없는 개념을 동시에 주장하는 것을 일컬어 '모순(矛盾)'이라고 합니다. 물가를 낮추면서 물가를 높이는 건 절대 불가능한 일임에도 눈앞에 있는 사람의 구미에 맞는 말을 아무렇게나 내뱉는 저 무책임함은 결국 "공약이란 게 원래 그런 거 아닙니까?"로 귀결되는 거죠.


2024년 1월 25일의 윤석열 vs. 2024년 1월 22일의 윤석열 대통령 국무조정실

“전통시장이 잘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

“일요일에도 대형마트에서 장 볼 수 있도록 의무휴업 폐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661667?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586/0000071581?sid=101
윤석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이던 2021년 11월 방문한 적 있는 의정부 제일시장을 찾아 민생을 챙기고 전통시장이 잘 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하지만 불과 며칠 전 국무조정실은 월 2회 주말 의무휴업을 강제하고 있는 현 유통산업발전법을 개정하여, 주말에도 대형마트에서 장을 볼 수 있게 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렇게 자신들의 목줄을 옥죄는 정권임에도 불구하고, 피해 당사자들이 더더욱 윤 대통령을 지지하고 전폭적인 응원을 보내는 것은 참으로 아이러니 합니다.


2024년 1월 1일의 한동훈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vs. 2023년 2월 23일의 한동훈 법무부장관

"도이치(김건희) 특검은 총선용 악법이며 거부권 행사는 정당하다."

"사법리스크를 일거에, 조기에 해소할 좋은 기회일 텐데 그걸 마다하고 특권 뒤에 숨으려는 이유를 국민들께서 궁금해 하실 것이라 생각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332287?sid=100   https://headtopics.com/kr/546204604154984945791-35768104
저런 모순과 부조리를 꿋꿋이 견뎌내며 정신 승리 할 수 있는 능력이 바로 윤석열 정권 법무부장관과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을 맡도록 하는 기본 자격입니다.


2021년 12월 14일의 윤석열 vs. 2022년 12월 1일의 검찰

"(제 아내 계좌를 보니) 시세변동 자체가 거의 없었고, 비쌀 때 사서 쌀 때 파는 바람에 오히려 수천만 원 손해가 났다."

"김건희 모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으로 22억 수익 올렸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646637?sid=15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2/0001984509?sid=102
저렇게 당당하게 거짓말을 하고선, 범죄를 제대로 수사하자고 국회에서 통과시킨 특검까지 거부권을 행사하고 있는 놀라운 대통령입니다. 그는 대한민국 국민을 위한 대통령입니까? 아니면 아내와 처가를 위한 대통령입니까?


2023년 5월 31일의 윤석열 정권의 해양수산부 vs. 2024년 1월 4일의 윤석열

"블루카본 추진 전략 발표!"

"블루카본 추진 예산 삭감!"

https://v.daum.net/v/20230531180103303   https://v.daum.net/v/20240108060305229
블루카본은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히는 탄소를 흡수하는 갈대, 갯벌 등 해양생태계를 뜻합니다. 윤석열 정권은 육지 보다 탄소 흡수·저장력이 좋은 해양식생의 조성 면적을 넓혀 2030년까지 탄소 106만6000톤을 흡수시킨다는 계획을 세운 바 있습니다.

하지만 1년도 지나지 않아 블루카본 강화·확대 연구를 위한 R&D 예산은 지난해 364억원에서 올해 279억원으로 23%가량 감소했습니다. 해양수산부는 당초 지난해 예산보다 약 25% 증액한 486억원을 요구했으나, 윤석열 대통령의 R&D 예산 30% 삭감 가이드라인에 따라 기획재정부 심의 등을 거치면서 큰 폭이 삭감된 것입니다. 삭감액만 따지고 보면 207억원에 달합니다.

연구자들이 연구할 자금이 없어 안타깝다면서 정작 자신이 연구 예산을 삭감하는 식의 윤석열 대통령의 싸이코패스적이면서도 모순적인 행태는 현재 진행형힙니다.


2023년 12월 22일의 윤석열 vs. 2024년 1월 4일의 윤석열

"정부 R&D 예산 4조6천억 삭감"

"본격적으로 연구(R&D)를 하려고 해도 연구할 자금이 없어요!"

https://www.khan.co.kr/science/science-general/article/202312222006025   https://www.youtube.com/watch?v=2Ei4dvCUlts&t=759s
2024년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은 작년보다 무려 15%가량 줄어든 26조5000억원입니다. 4조6천억원의 R&D 연구 자금이 삭감된 것입니다. 그나마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5조9000억원 예산을 야당인 민주당이 6000억원 늘인 것이지만, 어쨌든 R&D 예산 삭감 규모로는 전무 후무한 수준입니다. 대학이나 국책 연구기관 현장에서는 벌써부터 연구 인력을 30% 가량 줄이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그런데도 윤석열 대통령은 "지금 R&D 연구 자금이 모자라서 문제가 되고 있으니, 내 재임기간 중에 R&D 예산을 대폭 늘릴 것"이라고 발언한 건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본인이 줄여 놓고 본인이 늘이겠다며 무슨 대단한 일이라도 하는 것처럼 말하는 걸 보면 이 사람은 자신의 정책을 이해하고 있나, 자신의 정책이 뭔지 알고는 있는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정부 R&D 예산의 집행 과정에 문제가 있다면 그 원인을 진단하고 문제 개선 방안을 짜낼 일입니다. 왜 옥석을 가리지 않고 전체 예산을 일괄적으로 15% 삭감해버리는 짓을 하는 걸까요?

멀쩡한 제비 다리를 부러뜨린 후 치료를 해주면서 "내가 이렇게 좋은 일을 했으니 박씨를 물어달라"고 외치는 놀부를 보는 듯합니다.


2023년 1월 12일의 윤석열 vs. 2023년 12월 6일의 윤석열

"범죄 피의자와 만날 수 없다."

"범죄 피의자와 분식집 먹방♥"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39416?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414348?sid=102
공식적으로 "대통령이 범죄 피의자와 면담할 수 없다"고 말한 것은 국민의힘 정진석 의원입니다. 하지만 해당 발언 전후로도 대통령실과 다수의 관계자들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범죄 피의자라서 대통령이 그를 만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이야기를 일관되게 해왔고, 윤석열 대통령도 이를 딱히 부인하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 윤 대통령 취임 후 540일동안 야당 대표를 한 번도 공식 접견하지 않는 협치 휘발 사태가 벌어진 것이도 하고요.

[윤석열 치하 2023년 10월 31일] 대통령 취임 후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 첫 회담

그런데 그랬던 윤석열 대통령이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과는 수시로 회동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급기야 지난 12월 6일에는 부산 깡통시장 방문 시 이재용 부회장을 포함한 대기업 총수들을 불러모아 먹방을 찍기도 했습니다. 이재용 부회장은 자본시장법상 부정거래행위와 시세조종, 업무상 배임 등 혐의로 기소된 범죄 피의자입니다. 이재명 당대표가 범죄 피의자라서 못 만난다던 윤 대통령이 어떻게 이재용 부회장과는 이렇게 기쁘고 즐겁게 잘 만날 수 있는 걸까요?


2021년 5월 26일의 윤석열 vs. 2023년 11월 16일의 최은순

"내 장모가 사기를 당한 적은 있어도 누구한테 10원 한장 피해준 적이 없다."

대법, 尹 대통령 장모 '잔고증명 위조' 징역 1년 확정

https://www.yna.co.kr/view/AKR20210601101700001?section=search   https://v.daum.net/v/20231116123644279
윤석열 대통령이 "내 장모가 사기를 당한 적은 있어도 누구한테 10원 한장 피해준 적이 없다"고 강조했던 최은순 씨의 '잔고증명 위조' 혐의에 대한 1심과 2심의 징역 1년 판결이 대법원에서 확정되었습니다.

윤 대통령 장모 최은순 씨는 2013년 100억원짜리 잔고증명서 1장, 72억원짜리 잔고증명서 1장, 39억원짜리 잔고증명서 1장, 139억원짜리 잔고증명서 1장 등 총 4장의 잔고증명서를 위조하고 이를 행사한 죄로 기소된 바 있습니다.

대법원 징역 확정을 전하며 벌써부터 가석방 가능성을 언급하는 뉴스 클라스 멋지네요.....


2023년 10월 31일의 윤석열 vs. 2023년 11월 10일의 윤석열

"취약계층과 사회적 약자에 어려움이 가중되지 않도록, 약자복지를 흔들림 없이 실현해 나갈 것"

취약계층, 저소득층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 매입임대주택 예산 4조6834억원 감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586/0000066829?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2767817?sid=101
이쯤 되면 누가 써준대로 그냥 받아 읽기만 하는 거라고 봐도 무방할듯... 정상인이이라면 맨 정신으로 저런 모순된 언행은 절대 못할 것 같은데 말예요.


2023년 10월 29일의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 김주현 금융위원장 vs. 2023년 10월 31일의 윤석열 정권 국토부 2024년 예산안

“가계부채 위기땐 외환위기 몇십배, 줄여야 하는 게 기본원칙”

"'신생아 대출' 내년 27조 풀린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528075?sid=1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08624?sid=101
김대기 비서실장은 10월 29일 고위당정협의회에서 "가계부채 위기가 발생하면 1997년 기업부채로 인해 우리가 겪었던 외환위기의 몇십 배 위력이 될 것이다" 라며 가계부채의 위험성을 강조했고, 김주현 금융위원장 역시 10월 11일 국정감사에서 가계부채 증가를 부추기는 '50년 주담대' 같은 상품은 상식에 맞지 않는다고 비판했습니다. 특히 김비서실장은 과거 정권의 영끌 대출이 문제였다며 깨알 같이 전 정권 탓을 했습니다.

하지만 주택담보대출의 소득 제한을 철폐하거나 LTV, DTI 등 규제를 완화하며 "빚 내어 집을 사라"고 부추긴 게 바로 윤석열 정권의 금융당국입니다. 지난해 6월 17개 시·군·구의 규제 지역을 해제한 데 이어 11월 서울과 과천 등 경기 4곳을 빼고 인천과 세종 등도 추가로 빗장을 풀었습니다. 실거주 의무와 전매 제한 규제도 완화하기로 했습니다. 결정적으로 올해 1월 50일 소득 제한 없는 50년 만기 특례보금자리론을 출시하며 봇물을 터뜨렸습니다.

[연합뉴스] 소득 안보는 4%대 특례보금자리론 30일 출시…조건 충족시 3%대 - 2023.01.11.

이런 윤석열 정권의 노력 덕택(?)에 2023년 10월 26일 기준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684조8018억 원으로, 9월 말(682조3294억 원)보다 2조4724억 원 늘었습니다. 이는 2021년 10월(3조4380억 원 증가) 이후 2년 만에 월 증가 폭이 가장 크고, 5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달 들어 주담대가 2조2504억 원 늘면서 가계대출 증가세를 주도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국토부는 2024년에 주택 구입을 위한 신생아 특례대출로 26억6000억원을 투입할 예정입니다.

이런 뇌정지를 유발하는 모순적인 정책 집행의 결과는 누가 감당하게 될까요?


2023년 11월 1일의 윤석열 대통령 직속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 vs. 2023년 11월 1일의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이 이뤄지는 지방시대를 열겠다."

"김포시를 서울시에 편입하여 서울을 메가시티로 만들겠다."

https://v.daum.net/v/20231101140017017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3110118430334270
같은 날 "분산시키겠다"와 "집중시키겠다"고 주장하는 정부와 집권 여당..... 혼란하다 혼란해....


2023년 8월 28일의 윤석열 vs. 2023년 10월 18일의 윤석열 정권의 기획재정부

"해경이 바다 안전하게 지켜줄 때 신해양 강국 발전"

해경 도감청 방어 2024년 예산 전액 삭감 & 주던 수당도 삭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865953?sid=102
윤 대통령은 지난 2023년 8월 28일, 인천 아라서해갑문에서 열린 해양경찰 창설 70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해양경찰이 바다를 안전하게 지켜줄 때 대한민국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탄탄한 신해양강국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마약 등 밀수와 밀입국 단속을 위해 해경이 기획재정부에 제출한 2024년도 도감청 장비 증설 예산 4억9700만원이 정부 심의 과정에서 전액 삭감되었습니다. 웃긴 건 긴축 재정 때문에 모든 부처 도감청 예산이 삭감된 건 아니라는 점입니다. 감사원, 통일부 등이 제출한 내년도 도감청 장비 예산은 모두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건비 관련 해경에 대한 홀대도 심각한 수준입니다. 작년 기획재정부, 인사혁신처, 행안부가 주관한 예산편성 회의에 경찰만 대표 격으로 참여했고 해경은 빠졌습니다. 그 여파로 해경의 인건비 상승분(100억~120억 원)이 예산에 반영하지 않았고, 여기에다 초과근무 수당 100억 원까지 삭감되는 바람에 부족한 인건비는 모두 547억 원에 달합니다. 해경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출장 여비도 삭감했고, 함정 출동 수당도 줄이려고 출동도 자제하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결국 윤 대통령이 해경 창설 70주년에 참석하여 해경을 추켜세우며 한 말은 그냥 말로만 그러는 거라는 사실을 잘 알 수 있습니다.


2023년 10월 18일의 윤석열 vs. 2023년 8월 28일의 윤석열

"소모적 이념 논쟁 멈추고 오직 민생에 집중해야 한다."

"제일 중요한 것이 이념이다. 이념은 나라를 이끌어 가는 철학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250606?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4/0001296390?sid=100
대통령 각하께서 정신분열증과 다중인격의 콜라보를 통해 2023년 대한민국을 통치하고 계십니다.


2023년 10월 17일의 윤석열 vs. 2021년 6월 20일의 윤석열

"내가 전문가니까 다 안다는 생각 버려라."

"나를 가르치려 드느냐?"

https://v.daum.net/v/20231018091528628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6/0000048157?sid=100
장관들로부터 업무 보고 받는 자리에서 즉흥적으로 몇십 분씩 발언을 하는 사람이야말로 "내가 전문가니까 다 안다"고 생각하는 유형인 것 같은데요. 제발 니가 다 안다는 생각 좀 버리고, 다른 사람 얘기 좀 들으세요. "나를 가르치려 드느냐"며 버럭 화 내지 말고....


2023년 8월 24일의 한덕수 국무총리 vs. 2023년 10월 12일의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수입규제 조치를 견고하게 유지하겠다."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하는 것은 과도하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633265?sid=100   https://v.daum.net/v/20231012111940770
조석변개가 일상이요, 바이든도 수시로 날리는 정권이라, 이젠 놀랍지도 않습니다.


2023년 2월 23일의 한동훈 법무부장관 vs. 2023년 9월 27일의 한동훈 법무부장관

"(유죄) 증거가 없다면 영장은 100% 기각될 것이다."

"영장이 기각되었다고 죄가 없다는 건 아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2/0001853342?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224320?sid=102
일국의 법무부장관이 구속영장 발부를 호언장담하다가 막상 기각 되고나니 말이 기네요. 겉으로는 화려한 언변으로 사람들을 기만하지만, 실제론 손가락을 벌벌 떠는 모습을 보고 많은 분들이 이 사람의 실체를 느끼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2022년 12월 22일의 윤석열 vs. 2023년 9월 22일의 윤석열

“돈이 없어 연구 못한다는 말이 나오지 않도록 과학자의 연구를 충분히 지원할 것입니다.”

2024년 연구개발 예산, 올해보다 13.9%(약 3조4000억 원) 삭감

https://www.mhj21.com/153244   https://n.news.naver.com/article/629/0000240217?sid=100
윤석열 정부는 매년 R&D 실적에 상대평가를 도입하여 하위 20%는 예산을 삭감한다고 합니다. 이에 대해 연구활동 위축, 국가 미래 경쟁력 타격 등의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기초연구연합' 회장인 정옥상 부산대 교수는 "기초 연구는 법칙이 나오려면 짧게는 10년 길게는 1세기를 거쳐 나온다. 그래서 기초 연구는 10년, 20년 지속적으로 되고 있는데 갑자기 정부가 전환하면 연구하고 있던 이들은 황당하고 혼란스럽다. 연구 현장에서 한 40년 있었는데 이런 경우는 없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그게 깎이면 지금 연구하던 분들이 갑자기 손을 놔야 한다. 또 기초과학 연구는 다양성과 지속성을 유지해줘야 하는데, 깎인 액수보다도 판을 흔들어 놓은 게 문제"라고 덧붙였습니다.


2023년 9월 21일의 윤석열 vs. 2023년 9월 22일의 파라과이 페냐 대통령

"부산이 엑스포를 유치할 수 있도록 파라과이의 지지를 당부한다."

"파라과이는 사우디의 엑스포 유치를 지지한다."

https://www.mhn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2276   https://twitter.com/SantiPenap/status/1705196485606850724?t=ngU25nAhD4vRQJv1EBNXfA&s=19
대통령실은 윤석열 대통령이 유엔 총회 참석을 위한 방미 기간 중, 60회 이상의 양자회담을 하는 건 대한민국 100년 외교사에 없던 일이라며 치켜세웠습니다. 특히 부산 엑스포 유치를 위해 지지표를 다지기 위한 측면이 크다고 강조했는데요. 9월 21일 파라과이 페냐 대통령 부부를 만나 부산에 대한 지지를 당부한지 하루도 지나지 않아, 페냐 대통령은 자신의 트위터(X)에 "파라과이는 사우디의 엑스포 유치를 지지한다." 라고 트윗을 올렸습니다.

양 보다 질을 생각해 볼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애초에 사진 찍으러 가신 거라면 상관 없지만요.


2023년 9월 14일의 윤석열 vs. 2023년 9월 1일의 윤석열 정권

"청년들이야말로 국정의 동반자이고, 청년들의 목소리가 국정에 반영되도록 할 것입니다."

청년예산 4206억 '삭감'... 폐지한다던 여가부 예산은 1475억 '증액'

https://v.daum.net/v/20230915001509259   http://www.kookminnews.com/72035
예수는 "보지 않고 믿는 자가 복되도다" 라고 말했고, 그런 그를 믿는 것은 종교의 영역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말로 온갖 약속을 하더라도, 정말 그것을 실천하는지를 확인하고 그를 지지해야 하지 않을까요? 확인 필요 없고, 그가 말씀하시니 그대로 될지어다, 하며 무조건 믿고 열렬한 지지를 보낸다면 이미 종교의 영역에 들어선 겁니다.


2023년 8월 25일의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vs. 2023년 9월 10일의 윤석열 정권 해양수산부

"당정,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 금지 조치 계속 유지할 것"

"후쿠시마산 수산가공품 9월에도 수입 통과"

https://v.daum.net/v/20230825105424290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30910500232
국민의 불안감이 해소될 때까지 후쿠시마산 수산물을 수입하지 않겠다면서 후쿠시마산 수산물을 가공한 식품은 계속 수입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정권은 양두구육은 당선 전이나 당선 후나 일관성 있게 계속됩니다.


2023년 8월 29일의 윤석열 vs. 2021년 7월 1일의 윤석열

"홍범도 장군의 항일 투쟁은 인정하지만, 소련 공산당원 등록 경력이 있는데 육사의 정신적 지주로 인정할 수는 없다."

"국민당과 공산당이 서로 간에 원수로 있다가도 일본제국주의하고 싸울 때는 어떻게 합니까? 국공합작하잖아요. 공산당과도 필요하면 손을 잡아야 되는 거예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2744104?sid=100   https://brunch.co.kr/@mugeoul/426
1900년대 초는 조선을 집어삼키려는 일제의 야욕에 맞서기 위해 다른 강대국의 힘에 호소해야 했고, 소련은 그 선택지 중의 하나였습니다. 1920년대 일제강점기 공간의 공산주의, 그리고 1945년 이후 해방 공간과 한국전쟁 공간의 공산주의를 동일하게 바라보는 것은 명백한 역사 왜곡이며, 몰랐다면 우둔한 것이고 알고서 그렇게 우기는 것이라면 악랄한 것입니다. 역사 왜곡은 일본만 하는 건 줄 알았는데, 우리나라 대통령이 저렇게 역사를 왜곡할 줄이야....


2023년 9월 4일의 윤석열 vs. 2023년 9월 4일의 윤석열 정권의 교육부

"단체행동 교사들의 목소리를 깊이 새겨 교권 확립과 교육 현장 정상화에 만전을 기하겠다."

"단체행동 교사는 파면·해임 징계까지 가능하고 형사 고발할 수도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558781?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308959?sid=102
앞에서는 '공교육 멈춤의 날' 집회에 참석한 교사들의 목소리를 경청하겠다며 이미지 메이킹 하지만, 뒤에서는 각급 학교에 공문을 보내어 '공교육 멈춤의 날'은 학생들의 학습권 침해이므로 임시 휴업을 강행한 학교장이나 특별한 사유 없이 연가·병가를 사용한 교원에 대해 최대 파면·해임 징계까지 가능하고 형사 고발할 수 있다고 엄포를 놓았습니다.

다중인격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앞과 뒤가 다르고 표리가 부동한 이런 정권에 무엇을 더 기대할 수 있을까요?


2023년 9월 3일의 신원식 국민의힘 국회의원 vs. 2021년 8월 24일의 태영호 국민의힘 국회의원

“홍범도는 뼈속까지 빨간 공산당원이다.”

"북한에서조차 홍범도를 공산주의자로 보지 않았다."

https://v.daum.net/v/20230903150905643   https://v.daum.net/v/20230903114359123
돼지 나폴레옹 한 마디가 곧 법이 되듯이, 윤석열 대통령 한 마디에 모든 정부관료와 정치인들이 사냥개처럼 홍범도 장군 물어뜯기에 열심입니다. 100년 전 독립군조차도 그토록 철저하게 사상 검증을 해야한다는 분들은 정작 이 나라의 안위에 얼마나 관심이 있을까요. 모두가 아시다시피, 국군통수권자는 '부동시'라는 어처구니 없는 사유로 군면제를 받았습니다. 대통령실 실장 2명 · 수석 4명이 모두 '방위'일 정도로, 국방의 의무는 신통하게도 비껴간 사람들이 가득한 정부입니다. 홍범도 장군을 뼛속까지 빨갛다고 비난한 신원식 의원은 중대장 시절 '부대원 사망'을 조작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네요. 이들이 나라의 안위를 걱정할 자격이 있는 건가요? 그런 그들의 걱정은 얼마나 진정성이 있습니까?


2021년 4월 15일의 박형준 부산시장 vs. 2023년 8월 24일의 박형준 부산시장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방류 철회하라."

"비합리적 오염수 선동에 휘둘리면 안 된다."

https://v.daum.net/v/20210415134737221   https://v.daum.net/v/20230824180532952
자신과의 싸움이 가장 힘들다고 하죠. 윤석열 정권과 그 수하의 졸개들은 일단 자신들과의 싸움에서 승리하시고 돌아오시기 바랍니다.


2023년 8월 24일의 한덕수 국무총리 vs. 2021년 4월 13일의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한덕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는 안전... 정부·과학 믿어달라"

원희룡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는 폭거... 법적 대응 나설 것”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29/0000234602?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596548?sid=102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의 안전 여부는 그때그때 다르죠?


2023년 8월 21일의 한동훈 법무부장관 vs. 2021년 8월 13일의 홍준표 대구시장

"본인 수사 과정에서 몇 분이나 돌아가셨는지 한 번 만 생각해 보라."

"윤석열의 포악한 수사에 5명이나 자살했다. 국민 앞에서 석고대죄해야 한다."

https://v.daum.net/v/20230821151200728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009963?sid=100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관련된 수사 과정에서 몇 분이 자살을 한 것은 팩트입니다. 그런데 그 자살의 원인에 있어서 검찰의 무리하고 강압적인 수사가 정말 없었던 걸까요? 수십 차례 압수수색과 먼지털기식 망신주기로 대표되는 검찰의 수사는 윤석열 일가나 한동훈 본인과 관련된 범위에서는 전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그야말로 정치적인 수사라고 손가락질 받을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자당의 홍준표 대구시장조차 자신과 관련된 인물들이 윤석열의 검찰의 강압수사로 5명이나 자살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니, 니들끼리 먼저 정리부터 하고 나오셨으면 합니다.


2023년 8월 16일의 윤석열 vs. 2023년 8월 14일의 윤석열

"사회적 기업에 대한 국고보조금을 삭감하라."

관변단체 3곳 국고보조금 역대 최고치 증액

https://v.daum.net/v/20230816155001915   https://v.daum.net/v/20230814210405977
재정건전화를 명분으로 사회적 기업들에 대한 국고보조금은 무더기로 삭감하면서, 대통령에 아첨하고 정권을 옹호하는 자유총연맹·새마을중앙회·바르게살기협의회 등에는 역대 최고치의 국고보조금을 지급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재정건전화가 진짜 목적인 건지, 아니면 국고보조금을 미끼로 사회적 기업과 시민단체, 각종 연구기관을 길들이기 하려는 건지,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23년 7월 5일의 윤석열 vs. 2023년 8월 10일의 윤석열

"과학기술인, 마음껏 연구할 수 있도록 전폭 지원하겠다."

과학기술 연구개발 예산, 20~30% 일괄 삭감

http://news.bbsi.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1684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171335?sid=105
윤석열 대통령은 "스카우트 명예총재로서 잼버리 대회의 성공을 위해 아낌없이 지원하겠다” 고 약속해놓고선 실제로는 잼버리 대회 침수/폭염/안전 예산 78%를 삭감해버리는 만행을 저질렀습니다. '전폭 지원' 한대놓고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 많은 분들이 의아해 했습니다. 그런데 윤 대통령이 '전폭 지원'이라는 단어를 사전적 의미와는 전혀 다르게 사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제1회 세계 한인 과학기술인 대회' 개회식에 참석해 "과학기술이야말로 자유를 지키는 힘”이라고 추켜세우며, 과학기술인들이 마음껏 연구할 수 있도록 전폭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하지만 한 달도 지나지 않아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과학계가 정부가 지원하는 연구개발 예산을 나눠먹기, 갈라먹기 하고 있다며 지원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지시했습니다. 국가 연구개발사업 예산안 심의를 불과 이틀 앞둔 시점에서 말입니다. 결론적으로 정부로부터 연구개발 예산을 지원받고 있던 과학기술 기관과 연구소들은 일괄적으로 20~30% 삭감된 예산안을 받아들게 되었습니다. 나눠먹기, 갈라먹기는 핑계에 불과했고 예산 삭감이 목적이었던 겁니다.

이로써, 윤석열 대통령이 사용하는 '전폭 지원'이라는 말은 사실은 '삭감'을 뜻한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2023년 3월 29일의 윤석열 vs. 2023년 6월 7일의 윤석열 정부

"스카우트 명예총재로서 잼버리 대회의 성공을 위해 아낌없이 지원하겠다.”

잼버리 대회 침수/폭염/안전 예산 78% 삭감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49484   https://v.daum.net/v/20230805070606930
지난 6월 7일 새만금 잼버리 대회 안전대책 마련을 위해 전라북도와 전북도의회가 긴급 국비지원을 요청했는데, 정부는 이 중에서 78%를 삭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폭염과 폭우 등 새만금 잼버리 안전대책을 위해 추가로 소요되는 128억 원 가운데 조직위원회 가용예산 34억 원을 제외한 나머지 94억 원을 국비로 지원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는 이 중에서 74억원을 삭감하고 20억원만 지원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지난 3월 윤석열 대통령은 스카우트 명예총재로서 대회의 성공을 위해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실제로는 예산을 많이 아끼면서 지원한 것입니다.

잼버리는 대한민국에 굴욕감을 남겼고, 윤석열과 김건희는 화보를 남겼습니다.


2023년 8월 1일의 윤석열 vs. 2023년 8월 2일의 민주당

“현재 LH 아파트의 무량판 공법 지하주차장은 모두 우리 정부 출범 전에 설계 오류, 부실 시공, 부실 감리가 이뤄졌다.”

"'철근 누락' LH 아파트 15개 중 13개 단지가 尹 정부 때 공사 진행되고 준공승인이 났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840400?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9/0003797566?sid=100
윤석열 대통령은 '국민 안전'을 위협하는 어떤 것도 용납할 수 없다고 역설했습니다. 하지만 그런 그는 국가 안전 시스템의 부재 속에 국민이 숨져간 오송 참사사건에 대해선 어떤 사과나 유감 표명도 없었고, 현장을 찾아보지도 않았습니다. 40도에 육박하는 찜통더위 속에 4만3천 보를 걸으며 카트를 날랐던 코스트코 청년 노동자가 쓰러져 죽었을 때도 전혀 관심을 주지 않았습니다.

그런 쿨한 윤석열 대통령이 국민 안전과 관련하여 진심으로 핏대를 세우는 지점은 바로 그 안전 위해의 원인이 전 정부라고 판단되는 경우입니다. 이런 선별적이면서도 선택적인 자세는 그가 말하는 '국민 안전'에 대한 진정성에 대해 고개를 갸웃거리게 합니다.


2023년 8월 1일의 윤석열 vs. 2022년 6월 22일의 윤석열

"안전을 도외시 한 이권 카르텔은 반드시 깨부숴야 한다."

"안전을 중시하는 관료적인 사고는 버려야 한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1200/article/6509750_36170.html   https://v.daum.net/v/20220628113600755
윤석열 대통령 발언대로라면 무조건적인 원전 옹호론자들도 국민 안전을 도외시하는 이권 카르텔 아닌가요?


2023년 7월 30일의 윤석열 vs. 2023년 7월 31일의 윤석열

"쉴 시간 없지만... 8월초 '짧은 휴가' 간다."

"8월 2~8일, '6박 7일' 여름휴가 간다."

https://v.daum.net/v/20230730150816940   https://v.daum.net/v/20230731181606658
바빠서 휴가 갈 시간도 없기에 짧은 휴가간다고 설레발 치더니, 하루만에 6박7일 긴 휴가 다녀오시겠답니다. 이미 그럴 줄 알고 있었죠. 윤석열 대통령은 원래 먹고 노는 데에 진심이기 때문입니다. 기억하실지 모르겠는데, 작년에도 이랬습니다. 휴가갈 여력 없다고 해놓고 휴가 가셨죠. ^ㅅ^

[윤석열 對 윤석열] "여러가지 어려운 상황... 휴가 갈 여력 없다" vs. "취임 후 첫 휴가... 시민들과 접촉하며 소통하겠다"


2021년 5월 26일의 윤석열 vs. 2023년 7월 21일의 최은순

"내 장모, 누구한테 10원 한장 피해준 적 없다."

"윤서방, 미안해. 나 2심에서도 유죄받고 법정 구속됐어."

https://www.yna.co.kr/view/AKR20210601101700001?section=search   https://v.daum.net/v/20230721180211861
의정부지법 제3형사부(이성균 부장판사)의 심리로 열린 항소심 선고공판에서 재판부는 "피고인의 항소는 제반 상황을 살펴봤을 때 받아들일 이유가 없다"며 기각하고 "항소심까지 충분히 방어권이 보장됐으며 죄질이 매우 나빠 법정구속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영부인 김건희 여사의 모친인 최은순 씨는 경기 성남시 도촌동 땅 매입과정에서 2013년 4월 1일부터 10월 11일까지 4차례에 걸쳐 총 349억원가량이 저축은행에 예치된 것처럼 잔고증명서를 위조한 혐의 등으로 기소된 바 있습니다. 최 씨는 동업자 안모씨와 공모해 2013년 8월 7일 도촌동 땅 관련 계약금 반환청구 소송을 제기하며 약 100억원의 위조된 잔고증명서를 법원에 제출한 혐의도 있습니다.

하지만 윤석열 대통령은 "내 장모가 사기를 당한 적은 있어도 누구한테 10원 한장 피해준 적이 없다"고 강조했었죠. 그는 범죄자의 터무니 없는 변명을 믿어준 멍청한 검찰총장이었을까요? 아니면 범죄자를 비호하고 돕는 공범일까요?


2023년 7월 16일의 윤석열 vs. 2023년 7월 17일의 윤석열

"해외에서 호우피해 상황에 대해 수시보고를 받고, 하루 한 번 이상 모니터링을 해왔다."

"저도 어이가 없다. 해외에서 산사태 소식을 듣고 그냥 주택 뒤에 있는 산들이 무너져 민가를 덮친 모양이라 생각했지, 몇백톤 바위가 산에서 굴러내려 올 정도로 이런 것은 지금까지 살면서 처음봤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6/0000118950?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4/0001286557?sid=100
해외에서도 수시로 보고를 받고 모니터링을 해왔기 때문에 대응에는 전혀 문제가 없었다더니, 정작 귀국해서는 "이런 줄은 몰랐다. 어이가 없다." 라고 하면 어떡하라고요? 보고 내용 자체가 현장 피해 상황을 축소한 건가요? 아니면 보고는 제대로 했는데 니가 제대로 이해를 못해서 그런 건가요? 어느 쪽이든 참 불행한 국민입니다.


2022년 3월 5일의 윤석열 vs. 2023년 7월 16일의 윤석열

“청와대에 있더라도 산불이 나면 헬기라도 타고 와야죠”

"당장 서울로 대통령이 가도 상황을 바꿀 수는 없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509698?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377381?sid=100
재난이 발생하면 즉시 현장으로 출동하겠다던 대통령이 2022년 수해 때는 "대통령은 퇴근 안 하냐"며 말을 바꿨고, 2023년에는 "어차피 대통령이 가도 상황이 바뀌진 않는다"고 다시 한 번 말을 바꿨습니다. 어쩌다 한 번이 아니고 2년 연속, 두 번입니다. 어떤 쪽이 윤석열 대통령의 본심인지 이제 전국민들이 잘 깨달으셨겠죠....


2022년 12월 27일의 윤석열 vs. 2019년 8월 27일의 윤석열

"국가 재정은 투명하고 원칙있게 쓰여져야 하고, 국민의 혈세를 쓰는 곳에 성역은 있을 수 없다."

"용처가 불분명하지만 영수증 한 장만 내면, 특활비 5,000만원 현금으로 받아 써도 문제 없다."

https://v.daum.net/v/2022122714384249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234629?sid=102
윤석열 대통령은 서울중앙지검장 재직 당시 특활비를 월평균 1억5천만원, 하루 480만원 꼴로 사용했습니다. 검찰총장 재직하던 2019년 8월에는 4억1111만원이, 9월에는 4억1431만원이 총장 몫 특활비로 배정되었는데요. 이 혈세가 얼마나 방만하게 사용되었냐면, 2019년 8월27일과 9월9일 각각 5000만원이 한 번에 현금으로 지출됐지만 증빙서류는 용처가 불분명한 영수증 한 장뿐이었습니다.

심지어 2019년 9월 15일에는 샌드위치 가게에서 무려 97만5천원이 결제된 영수증도 발견되었는데요. 20대 대선 국면에서 이재명 후보의 법인카드로 79,000원어치의 샌드위치가 주문되었다며 사적 유용으로 단정지어 몰아갔던 것을 상기해보면, 얼떨떨할 따름입니다.

"국가 재정은 투명하고 원칙있게 쓰여져야 하고, 국민의 혈세를 쓰는 곳에 성역은 있을 수 없다." 라고 말씀하셨던 분이 어찌하여 본인의 혈세 사용은 저리도 불투명하고 주먹구구로 하시는 걸까요?


2021년 10월 30일의 윤석열 vs. 2023년 7월 5일의 윤석열 정부와 교육청

"대통령에 대한 정치적 풍자는 국민의 권리"

‘윤석열차’ 금상 준 학생만화공모전 후원 중단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037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646779?sid=102
2022년 9월, 금상 수상작 <윤석열차>로 논란에 휘말렸던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의 전국학생만화공모전에 대하여 올해부터 문화체육관광부와 경기도교육청이 후원 명칭 사용을 불허하기로 했다는 소식입니다. 물론! 문체부와 경기도교육청은 작년 윤석열차 사건과 이번 후원 명칭 사용 불허 결정은 아무런 연관 관계가 없다고 말하겠죠. 국민 여러분도 그렇게 생각하십니까?


2016년 12월 2일의 윤석열 vs. 2023년 6월 28일의 윤석열

"검사가 수사권 가지고 보복하면 그게 깡패지, 검사입니까?"

윤 대통령 비판한 일타강사와 메가스터디 등... 국세청 불시 세무조사

https://yoontime.kr/?p=3&srcNo=12#idx_quo_12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192600&inflow=N
윤석열 대통령의 "킬러문항" 훈시에 대해 교육 현실을 모르는 발언이라며 일타강사들이 비판하자, 일타강사들이 포진한 메가스터디와 대형입시학원, 개별 일타강사들에 대한 전방위 세무조사를 때려버리는 정직한 윤석열 대통령... ㅡㅅㅡ)/ 이렇게 하면 보복성 조치라고 오해받지 않을까.... 하는 일말의 생각도 없는 것 같습니다.

검찰이 아니라 국세청을 동원해 보복한 거라 적어도 깡패는 아닌 건가요?


2023년 6월 30일의 윤석열 vs. 2023년 6월 7일의 한동훈

"파견직 나눠먹기 행태 없애지 않으면 교육부를 없애겠다."

파견심사위 폐지하고, 검사끼리 정부 기관 파견직 나눠먹기 중...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2/0002291341?sid=100   https://www.newsfreezo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5537
윤석열 대통령이 6월 국무회의에서 교육부의 파견제도를 거론하며 이런 이권 카르텔을 철폐하지 않으면 부처를 없애겠다고까지 말하며 격노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대단히 정의롭고 원칙과 공정이 1순위인 것 같은데, 정작 자신의 오른팔인 한동훈 장관은 조국 전 장관이 파견제도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만들었던 '검사 파견 심사위'를 폐지하고 정부 기관 요직에 검사들을 마구잡이로 꽂아넣고 있는 중입니다. 검찰 출신들이 공공기관장이나 상임이사, 상임감사 등으로 낙하산 타고 내려가는 건 '윤석열 낙하산' 메뉴만 보셔도 잘 알 수 있구요.

윤 대통령은 검찰과 법무부의 파견직 나눠먹기를 척결할 수 있을까요? 그 누구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 것입니다. 결국 윤석열의 나눠먹기는 착한 나눠먹기고, 그것을 제외한 나머지만 나쁜 나눠먹기일테니까요.


2022년 4월 15일의 윤석열 vs. 2023년 6월 7일의 윤석열

"한국노총의 친구가 되겠다. 앞으로도 변함없는 친구로 남겠다."

"(경사노위 참여를 위해) 한국노총에게 양보하거나 타협할 상황이 아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669773?sid=10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37/0000346310?sid=102
2022년 2월 24일 한국노총 산하 전국건설산업노동조합은 윤석열 대통령 후보 지지를 선언했습니다. 하지만 한국노총의 친구가 되겠다던 윤석열 대통령은 당선 이후 건설산업노동조합을 '건폭'으로 규정하고 캡사이신, 물대포 등 강력한 경찰 대응을 주문했습니다.

똥이 똥인줄 굳이 먹어봐야 믿겠다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물론 자유입니다만, 똥을 먹는 괴로움은 본인의 몫일 뿐만 아니라 함께 먹어야 하는 이들에게도 고통입니다.


2019년 4월 8일의 조선일보 vs. 2023년 5월 30일의 조선일보

"진실은 팩트에 있다. 팩트가 있는 곳에 조선일보가 있다."

"필적 감정도 없이 유서 대필했다 기사 쓰고, 데스크는 검증도 안해"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7716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641939?sid=102
윤석열 정권의 검찰이 건설노조를 '건폭'으로 몰아붙이는 상황에서 양회동 건설노조 강원지부 지대장의 분신 사건이 발생합니다. 충격이 가시기도 전에 민족정론지 조선일보는 "분신자살을 종용하거나 방관한 정황이 있다"는 기사를 내보내고, 한 술 더 떠서 유서가 대필된 것으로 보인다는 기사까지 내놓습니다. 팩트 따윈 개나 주고 오직 단 한 가지 목표만을 위해 펜대를 놀린 악마적 기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윤석열 정권 홍보지라 표현해도 부족함이 없기에 조선일보의 표리부동한 모습을 윤적윤으로 올립니다.


2022년 11월 15일의 윤석열 정권 추경호 부총리 vs. 2022년 6월 28일의 윤석열 정권 최상목 경제수석

"한국과 중국이 공동이익을 위해 경제협력을 지속 도모해 나가기를 희망한다."

"중국을 통한 수출 호황의 시대는 끝나가고 있고, 한국은 대안 시장이 필요하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816757?sid=1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4765260?sid=101
(이 윤적윤과 관련하여 잘 정리된 기사의 일부를 그대로 옳겨봅니다.)

성급하게 외친 탈중국에 한국경제 '탈날라' - 2023년 5월 10일자 노컷뉴스

'안미경중'(安美經中·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은 지난 수십년간 보수.진보 어느 쪽이 집권하든 대중국 외교의 대전제였고 얼마전까지 그럭저럭 잘 작동돼 왔다. 지난 2001년까지만 해도 48.9억 달러에 불과했던 대중 무역수지 흑자는 지난 2016년에는 628.2억 달러를 기록하며 정점을 찍었다. 이후 무역수지 흑자폭이 줄어들기는 했지만 2021년까지 200억 달러 이상의 흑자를 기록했다.

하지만 한중 수교이후 30년간 지속되오던 이런 무역수지 흑자 구조가 지난해부터 흔들리기 시작했다. 지난해 대중 무역수지 흑자폭은 12.1억 달러로 간신히 적자를 면했다. 심지어 지난해 10월부터 대중 무역수지는 적자로 돌아선 뒤 무려 7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올해 4월까지 대중 무역수지 적자는 101.1억 달러를 기록했는데, 특히 올해 4월의 경우 대중 무역수지 적자 규모(22.7억 달러)가 전체 교역국 대상 무역수지 적자 규모(26.2억 달러)와 비슷하다. 한마디로 다른 나라에서 번 돈을 모두 중국에 갖다바치는 구조가 된 셈이다.

일각에서는 윤석열 정부들어 '안미경중'에서 '안미경미'로 급격히 전환한 것이 대중 무역수지 적자의 원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지난해 6월 최상목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은 "지난 20년간 우리가 누려 왔던 중국을 통한 수출 호황 시대는 끝나가고 있다. 우리가 중국의 대안이 되는 시장이 필요하고 다변화가 이뤄져야하는 실정이다"라고 말했다.

유럽시장의 중요성을 언급하는 과정에서 나온 발언이지만 윤 대통령이 중국과 대척점에 서있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 참석한 자리에서 나온 이같은 발언은 '탈중국 선언'으로 받아들여질 수밖에 없었다.


2023년 5월 18일의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 vs. 2023년 4월 26일의 윤석열

"오염수가 심각한 문제가 있다면 우리 시찰단이 가만히 있겠습니까?"

"일반적으로는 그럴 수 없지만, 현실적으로 국가 간에는 안 된다고 할 수는 없지 않겠습니까?"

https://v.daum.net/v/20230519071515988   https://vop.co.kr/A00001631941.html
우방국 정부 대통령실을 도청한 사건에 대해서도 항의는 커녕, "어쩔 수 없다"고 말하는 대통령과 여당인데, 오염수에 문제가 있을 때 퍽이나 일본에 항의하시겠네요.


2021년 7월 17일의 윤석열 vs. 2023년 5월 18일의 윤석열 대통령실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수록하는 것에 찬성한다."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수록하자는 개헌 제안은 5·18 정신을 모독하는 것이다."

https://v.daum.net/v/20210717152939767   https://v.daum.net/v/20230518094002258
헌법 전문 수정은 국민투표를 통한 개헌이 필요한 사안입니다. 윤석열 대통령도 찬성한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을 위해 개헌을 하자는 게 왜 모독인지 모르겠구요. 5월 18일에 이와 같은 제안을 하는 것은 더없이 시의적절한데 왜 국면전환이라며 거부하는 것인지 더더욱 모르겠습니다. 국민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구차한 핑계를 대는데, 국민투표를 통과하는 것이 곧 국민적 합의가 증명되는 것 아닌가요?

오히려 5·18 관련 망언을 쏟아내는 그쪽의 속내가 헌법 전문 수록을 반대하기에, 어떤 핑계를 대서라도 개헌을 거부하는 것이라 보는 게 합리적 판단 같습니다.


2021년 4월 27일의 국민의힘 vs. 2023년 5월 10일의 국민의힘

국민의힘, "日 오염수 방출 강력 규탄"

국민의힘, "후쿠시마 오염수, '괴담 선동' 말아야"

https://v.daum.net/v/20210427101506167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29/0000215951?sid=100
연일 친일모드인 윤석열 대통령을 옹위하여, 국민의힘도 일본 감싸기에 여념이 없는 것 같습니다. 2년전에는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계획을 맹비난했던 국민의힘이 지금은 전혀 문제가 없고 안전하다며 두둔하고 있네요. 국민의힘 성일종 의원은 '오염수'라고 부르지 말고 '처리수'라고 부르자고 했고요. 기시다 총리의 방한 때 합의한 후쿠시마 시찰단 파견 건은 오히려 오염수 방류에 면죄부를 주는 수순이 되어가는 분위기입니다.

(현재의 정부 여당은 사실상 윤석열 대통령에 의해 좌지우지 되고 있는 상태라, 국민의힘의 모순된 행보임에도 불구하고 윤적윤으로 올립니다.)


2022년 6월 27일의 윤석열 vs. 2022년 6월 27일의 윤석열

"(비행기에서) 자료 보느라 못 쉬었다."

"(비행기에서) 프리미어 축구하고 저 유로컵 있잖아… 책도 좀 보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598991?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598991?sid=100
서로 다른 날의 발언이 아니라 같은 날,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의 답변입니다. 그것도 연속된 질문에 대한 답변인데 자신이 한 말이 서로 맞지가 않습니다.

나토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전용기로 이동 중이던 윤석열 대통령이 기자단 구역에 나타났고 기자들이 질문을 던집니다.

기자 : “좀 쉬셨습니까?”
윤 대통령 : “못 쉬었어, 자료 보느라.”
기자 : “10시간 넘게 비행, 어떻게 보내셨나요?”
윤 대통령 : “프리미어 축구하고 저 유로컵 있지 않아… 책도 좀 보고.”

거짓말을 잘 하려면 기억력이 좋아야 된다고 하는데, 기억력이 10초쯤 되는 것 같습니다.


2023년 4월 11일의 윤석열 vs. 2023년 4월 18일의 윤석열

"온실가스, 내 임기 중에는 연 2%만 감축할테니 다음 정권에서 연 9.3%씩 감축해라"

"고통을 미래 세대에 떠넘기는 것은 미래 세대에 대한 착취"

https://v.daum.net/v/20230516045110685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8/0000809417?sid=100
코로나 3년동안 적자 재정 편성을 통해 국민 경제 손실을 보조하고 경기를 부양하려 했던 문재인 정부에 대하여 윤석열 대통령은 "재정적 고통을 미래 세대에 떠넘기는 것은 미래 세대에 대한 착취" 라며 맹비난 했습니다. 그런데 기후 위기와 관련하여 윤석열 정권이 발표한 NDC(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수정안을 보면 자신의 재임기간에는 온실가스를 연간 2%씩만 감축하도록 하고 그로 인해 미진한 감축량은 자신의 다음 정권에서 모두 감축(연간 9.3%)하도록 했습니다. "나만 아니면 돼" 심보가 아니고선 설명이 안되는 대목입니다.

백보 양보하여 경기 침체 우려가 깊어지는 현재 시기에 온실가스 감축에 발목 잡힐 수는 없으니 부득이하게 온실가스 감축의 우선 순위를 하향 조정한다고 이해한다 칩시다. 그렇다면 문재인 정부의 코로나 적자재정 역시 충분히 이해가 되는 정책인데요. 왜 남이 하면 불륜이고 내가 하면 로맨스인 것일까요?


2023년 5월 12일의 윤석열 정부 vs. 2023년 5월 9일의 기시다 정부

"시찰단, 오염수 안전성 검토가 목적"

"시찰단, 오염수 안전성 평가 안 해”

https://v.daum.net/v/2023051211540125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607224?sid=104
평행우주의 시찰단인가요? 같은 시찰단의 시찰 목표를 놓고 한일 양국 정부의 말이 극명하게 갈리고 있습니다. 설마 대한민국 윤석열 정부가 거짓말을 하고 있을리는 없을테고..... 그러면 일본 정부가 거짓말을 하는 것이겠군요. 하지만 윤 대통령은 "일본인들이 무슨 일이든 정직하다"고 말씀하셨잖아요. 일본 정부가 거짓말을 할리가 없는데..... 그러면 어떻게 된 것일까요?


2022년 3월 5일의 윤석열 vs. 2022년 8월 10일의 윤석열 대통령실

“청와대에 있더라도 산불이 나면 헬기라도 타고 와야죠”

“비가 온다고 대통령이 퇴근을 안 하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509698?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293550?sid=100
"퇴근하면서 보니까 저지대는 이미 침수가 되고 있더라고" 하면서 신기한 남 일 보는 듯이 말했던 대통령.... 신림동 침수 피해 현장을 방문하여 찍은 사진을 국민 안전을 챙기고 있다는 홍보용 뉴스카드 배경으로 쓴 대통령실.....

(제보 : HSE 님)


2023년 5월 11일의 윤석열 vs. 2023년 5월 10일의 윤석열

“방향 잘못되면 정확한 기사로 이끌어달라.”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확신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811394?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607529?sid=100
방향이 잘못되면 정확한 기사로 이끌어달라. > 그런데 나는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이 확실하다. > 그러니 비판 기사 내면 죽는다...... 라는 기적의 3단 논법으로 보입니다. 그러니 비판 기사는 커녕 대통령 내외와 셀카를 찍으며 권력과 '무난한 관계'를 영위하는 기자들이 점점 많아지는 것 아니겠어요?

(제보 : 'Jihong' 님)


2023년 5월 2일의 윤석열 vs. 2023년 5월 10일의 윤석열

"취임 1년, 자화자찬은 절대 안돼"

‘尹정부 1주년 특집 다큐’ 제작비, 文정부보다 6배 넘게 증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782961?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481906?sid=101
취임 1주년을 맞아 자화자찬은 윤석열 대통령은 자화자찬은 절대 안된다며 겸손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러한 윤 대통령의 뜻에 따라 대통령실은 ‘바로 서는 대한민국을 위한 대통령의 약속’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배포하고 안보·공정·국익·미래·국격 등의 5개 분야로 나누어 윤 대통령의 행보를 홍보했습니다. 그리고 대통령실은 최근 ‘윤석열 정부 출범 1년, 나라가 이렇게 바뀌고 있습니다’라는 제목의 소책자를 배포하기도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대통령실은 5월 7일에도 유튜브 채널에서 취임 1주년 홍보 영상을 공개했습니다. <국민이 바라는 대한민국, 희망 인터뷰>라는 제목으로 윤 대통령과 배우자인 김건희 여사가 만났던 일부 국민에게 앞으로의 소망을 들었다는 내용입니다. 이 영상엔 부산 자갈치시장 상인, 서울맹학교 교사, 이정재 배우 등이 출연했습니다.

또한 대통령실은 9일 윤석열 대통령 취임 1주년을 맞아 국정 운영 비전이 담긴 3D 전광판을 강남·종로 등 서울 시내에 띄우기로 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정책방송원이 운영하는 KTV 국민방송은 4일간 윤 대통령 취임 1주년을 기념한 특집 1편, 특별기획 1편, 특별생방송 1편 등을 방영 및 재방영할 예정입니다. 5월 8일부터 사흘간은 <청와대 개방 1년 '살아 숨쉬는 청와대'> 3부작이 편성됐습니다. 9일부터 사흘간은 <윤석열 정부 출범 1년> 특집 다큐(1부 '자유, 그리고 공정', 2부 '나는 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입니다')이 각 2회씩 편성되었습니다. 1주년 당일인 10일에는 <윤석열 정부 1년 성과와 과제> 특별생방송이 방영될 예정입니다.

이에 질세라, 윤 대통령은 취임 1주년을 하루 앞둔 5월 9일, TV로 생중계된 제19회 국무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제가 대통령직에 취임한 1년 전 이맘때를 생각하면 외교·안보만큼 큰 변화가 이뤄진 분야도 없다"고 자화자찬했습니다.

역시 자화자찬 하지 않고 겸손히 국정을 운영해나가는 윤 대통령의 겸손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2년 1월 11일의 윤석열 vs. 2023년 5월 4일의 윤석열 대통령실

(간호법 제정 요구에) "숙원이 잘 이뤄질 수 있도록 저도, 국민의힘 의원들도 최선을 다하겠다."

"간호법 제정안, 윤 대통령 공식 대선 공약 아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0939111?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10/0000106412?sid=100
윤석열 대통령은 대통령 후보였던 2022년 1월 11일 서울 중구 대한간호협회 서울연수원에서 간호사들과 간담회를 열었습니다. 이 자리에서 윤 대통령은 "환자 목숨 감당 못해 그만 둔다는 소식에 가슴 먹먹했다", "간호사에 사명감만 요구할 순 없다. 업무 여건 개선해야 된다" 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간호사법 제정 요구에 대하여 "간호법은 3당에서 법안 발의를 해서, 또 정부가 여러 가지 조정을 해 대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법안이 국회로 오게 되면 제가 우리 당 의원께, 공정과 상식에 합당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잘 부탁을 드리겠다" 라고 약속했는데요.

그런데 대통령 당선 후 약 1년이 지난 시점에서 대통령실은 '공식적인 공약은 아니었다' 라며 국회를 통과한 간호사법 거부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습니다. 그러면 작년 윤석열 대통령의 말은 약속이 아니고 그냥 방구였습니까?

"간호사법이 국회를 통과하게는 해드릴게. 근데 국회 통과하면 내가 거부할 거야 ㅎㅎㅎㅎㅎ 국회 통과하게 최선 다한하고 했지, 내가 법안 공포한다고는 안 했잖아 ㅎㅎㅎ "

뭐 이런 건가요?


2023년 2월 2일의 윤석열 대통령실 vs. 2023년 5월 2일의 윤석열

尹정부 10대 성과 선정… SNS·옥외전광판에 홍보

"자화자찬 1주년 절대 안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584090?sid=100   https://v.daum.net/v/20230502160740768
자화자찬 0.75주년(9개월)은 되지만 자화자찬 1주년은 절대 안된다고 말씀하시는 우리 윤석열 대통령님이십니다. 뭐, 그렇다니까 그런 줄로 압시다.


2021년 9월 11일의 윤석열 vs. 2023년 4월 24일의 윤석열

"일본 사과 반드시 이끌어낼 것"

"일본이 한국에 용서 구해야 된다고 생각 안 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8/0000720780?sid=100   https://v.daum.net/v/20230424172305662
윤석열 대통령은 대선 경선 후보 시절인 2021년 9월 11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를 만나 "일본의 사과를 반드시 이끌어내고, 할머니들이 마음의 상처를 받았던 것들을 다 해드리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그러나 대통령 당선 후 1년도 지나지 않아, "100년도 지난 일을 가지고 일본이 한국에 용서 구해야 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며 말을 바꾸었습니다.


2023년 4월 19일의 윤석열 vs. 2023년 4월 7일의 윤석열(국가보훈처)

“4·19 혁명은 꽃다운 젊은 나이의 학생과 시민의 희생으로 대한민국은 민주주의의 초석을 놓을 수 있었다”

‘이승만 기념관’ 예산 460억 원 투입… 박정희의 2배, 노무현의 4배

https://www.newsfreezo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206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461135?sid=100
윤석열 대통령은 4.19가 왜 일어났는지, 무슨 사건인지도 모른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

이승만 전 대통령에 관한 역사적 사건 하나를 소개해드립니다. 6.25 때 이승만은 한강철교를 폭파하고 본인은 대전으로 피신했습니다. 그해 10월 서울이 수복되자 돌아온 이승만은 고립되어 피난하지 못한 180만 명 시민 중 무려 55만 명을 북한 부역자로 검거(!)하였고, 그중 800명을 처형해버립니다. 놀라운 건국의 아버지죠.


2022년 3월 11일의 윤석열 vs. 2023년 4월 12일의 윤석열

"의회와 소통하고 야당과 협치하겠다."

'야당 대표 안 만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179402?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216973?sid=100
1987년 민주화 이후 역대 정부 중 대통령과 제1야당 대표의 양자 회동까지 걸린 최장 기간(339일, 문재인-홍준표)을 갱신한 지금까지도 윤석열 대통령은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 대표를 만나지 않고 있습니다. 제1야당 대표와의 단독 회담은 커녕 여러 정당 지도부와의 다자 형식 회동도 이뤄지지 않고 있구요.

일각에서는 앞으로도 계속 협치는 없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습니다. 그는 평판에 신경쓰거나 주변의 눈치를 보는 스타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자기 소견에 옳으면 누가 뭐래도 무조건 가는 거고 자기 소견에 그르면 누가 뭐래도 안 하는.... 그런 사람입니다.


2023년 4월 20일의 윤석열 vs. 2022년 10월 13일의 윤석열

"장애인, 비장애인 다름없이 공정한 기회 갖도록 노력"

"발달장애인 특화사업장 신규 구축 예산 전액 삭감"

https://v.daum.net/v/20230420092648750   https://m.mdtoday.co.kr/news/view/1065584794905095
윤석열 대통령님의 건강을 위해 뇌정밀CT 촬영을 강력히 권고드립니다.


2023년 4월 18일의 추경호 vs. 2022년 6월 30일의 머니투데이

"윤석열 정부에서 탈중국 선언한 적 없다"

거침없이 '탈중국' 외친 尹

https://v.daum.net/v/20230418111111638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4765260?sid=101
당장 뉴스 검색창에 '윤석열 탈중국'만 검색해보아도 윤석열 정권이 일관되게 탈중국 행보를 걸어왔는지 잘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윤 대통령은 2022년 6월 29~30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나토(NATO·나토, 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에 참석했는데, 중국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비회원국인 아시아·태평양지역 국가 정상들이 나토 정상들과 안보를 논의하는 것을 미국·유럽을 위시해 자국을 견제하는 움직임에 동참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이걸 모르고 참석했다면 더더욱 한심스러운 거고요).

실제로 중국은 윤 대통령이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것을 두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습니다.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는 2022년 6월 24일 한국의 나토정상회의 참석을 두고 "한국이 동조하는 건 북핵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기는커녕 역내 평화와 안정, 발전을 해치는 불쏘시개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 대통령은 나토 정상회의 참석을 강행했으며, 게다가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마드리드 프레스센터 브리핑에서 "지난 20년간 우리가 누려 왔던 중국을 통한 수출 호황의 시대는 끝나가고 있다"며 탈중국을 언급하기까지 했습니다.

사실 윤 대통령은 당선되기 전부터 '사드 추가배치'를 아예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중국과 헤어질 결심'을 선포한 바 있습니다. 모든 액션이 '탈중국'을 선언하고 있는데, "말로 선언한 적 없다"고 말하는 건 무지한 건가요 아니면 낯짝이 두꺼운 건가요?


2023년 4월 18일의 윤석열 vs. 2022년 8월 25일의 윤석열

"文정권서 '국가채무 400조' 늘어…미래세대에 부담 떠넘겨"

“문재인 정부 핑계 더는 안 통해”

https://v.daum.net/v/20230418105405461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12163?sid=100
여전히 기-승-전-문재인탓이네요. 방만한 지출을 비판하시는 분이 수천억원들 들여 청와대를 이전하셨네요.


2022년 3월 10일의 윤석열 vs. 2023년 4월 7일의 윤석열

"대통령직을 정식으로 맡게 되면 헌법 정신과 의회를 존중하고 국민을 잘 모시겠다."

"의석수로 밀어붙인 법안은 100% 거부권을 행사하겠다. 지지율 1%가 되어도 상관없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179402?sid=100   https://v.daum.net/v/20230407110447025
당선 직후에는 헌법 존중하고, 야당과 협치하고, 국민 뜻을 받들겠다고 약속했으나 임기 1년이 가까워가는 이 시점 윤석열 대통령은 의회 다수결로 통과된 법안이라 하더라도 자신의 뜻과 다르면 100% 거부하겠다며 헌법과 의회 민주주의를 부정하는 듯한 발언을 했습니다. 국민의 뜻을 받들어 모시겠다는 사람이 지지율 1%가 되더라도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대로 추진하겠다고 엄포를 놓고 있네요.


2023년 3월 28일의 윤석열 vs. 2023년 4월 5일의 윤석열

"북한 퍼주기 중단하라... 핵 개발 추진하면 1원도 못 줘"

"정부, 올해 첫 민간 대북 인도지원 2억4천만 원 반출 승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730919?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783734?sid=100
통일부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윤석열 정권은 대북 인도적 지원은 정치·군사적 고려 없이 일관되게 추진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지난 3월 28일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이 국무회의 후 브리핑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비공개 발언을 전하며 "앞으로 북한 퍼주기를 중단하고, 북한이 핵개발을 추진하는 상황에서는 단돈 1원도 줄 수 없다는 것을 확실히 하라고 (통일부에) 지시했다"고 발표한 것입니다.

윤 정권이 세운 원칙을 윤 정권이 부정하는 이 발표에 대해, 통일부는 "단호한 의지를 말한 것으로, 기존 원칙에 변동이 있는 것은 아니다"고 해명했는데요. 그래서 1원도 줄 수 없다는 윤석열 대통령의 말은 사실이 아니라는 거죠? 입만 벌리면 구.....


2021년 12월 16일의 윤석열 vs. 2023년 4월 4일의 윤석열

"정부가 즉각 과잉 생산된 쌀을 추가 매수해서 쌀값 하락을 막아야 한다."

"정부의 쌀 강제 수매는 농업인과 농촌 발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https://v.daum.net/v/20211216155036328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782835?sid=101
윤석열 대통령은 불과 1년 6개월 전 대통령 후보자였을 때 "쌀은 국민의 가장 중요한 먹거리이므로 농민의 적정 소득이 보전되어야 한다"며 10% 이상 초과생산된 쌀 30만 톤에 대한 시장 격리(정부 수매)를 주장했습니다. 심지어 팔지 못한 쌀을 보관하는 비용까지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농민이 아우성치며 요청하는 사항이라고도 했었죠.

하지만 대통령에 당선되자, 정부 수매의 조건부 의무화를 규정한 양곡관리법 개정안이 통과되자 이를 "쌀 과잉 생산을 조장하는 포퓰리즘 법안이며, 농업인과 농촌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고, 농민들도 반대한다"고 말을 바꿨습니다. 그리고 국회를 통과한 법안에 자신의 첫 거부권을 행사합니다.

한덕수 총리는 "양곡관리법를 받아들일 경우, 2030년에는 쌀 수매에 들어가는 돈이 연간 1조 원으로 예상되는데, 그 돈이면 300개의 첨단 스마트팜을 조성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성경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한 여인이 자신의 죄를 뉘우치며 비싼 기름을 가져와 예수의 발에 붓고 예의를 표시했습니다. 그 모습을 보던 예수의 제자 중 한 사람은 여인을 꾸짖으며, "그 기름을 살 돈이면 많은 가난한 사람들을 먹을 수 있었을 것이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모두 알고 있었습니다. 그 돈이 있었더라도 그 사람은 그 돈을 가난한 사람들을 먹이는 데 쓰지 않았을 거란 사실을요.

1조 원으로 쌀을 수매하지 않고 더 좋은 곳에 쓸 수 있다고 한 총리는 말했지만,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그 예산이 남았더라도 농민을 위해 사용되진 않았을 거란 사실을요.


2023년 3월 21일의 윤석열 대통령 vs. 2023년 3월 30일의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용인 반도체단지에 日 소부장 기업 유치하겠다"

"용인 클러스터에 日소부장기업 우선 유치 안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48/0000400853?sid=101   https://v.daum.net/v/20230323140454033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이 "용인 반도체단지에 일본 소부장 기업을 적극 유치하겠다"는 발언과 관련하여, 일본 기업을 우선 유치할 생각이 없으며 국내 소부장 업체에 지원해야 된다는 건 같은 생각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2022년 10월 16일 중소벤처기업부는 국내 소부장 기업들에 대한 지원 예산 800억 원을 전액 삭감한 바 있습니다.


2022년 10월 16일의 윤석열 정권 vs. 2023년 3월 21일의 윤석열

"국내 소부장 기업 지원예산 전액 삭감하겠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일본 소부장 기업을 유치하겠다"

https://v.daum.net/v/20221016150629052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49339
미국과 중국 등 세계 열감이 자국기업의 경쟁력 확보와 이익을 최우선으로 움직이는 가운데, 윤석열 정권은 자국 소부장 기업에 대한 쥐꼬리만한 지원은 전면 중단한 반면, 그가 그토록 좋아하는 일본 소부장 기업을 국내에 적극 유치하겠다고 천명했습니다. 연결된 뉴스 보도에서도 지적하듯이, 일본 기업의 대거 상륙으로 수급이 안정화되면 국산화 기조도 자연스레 무력화되고 우리나라는 또 한번 ‘소부장 속국’ 신세를 면치 못할 것입니다.


2023년 3월 29일의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vs. 2023년 3월 29일의 윤석열 대통령

“尹정부, 文정부 에너지 요금 청구서 한꺼번에 받았다”

"가짜뉴스가 민주주의를 위협한다"

https://v.daum.net/v/2023032920112928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2697549?sid=100
전 정권인 문재인 정부에서 원전 가동률이 줄기는 커녕 오히려 늘었고, 발전 원가는 자신의 재임기간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던 2022년에 주로 상승했으며, 심지어 현재는 하향 안정화 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 정부의 실정으로 인한 청구서를 무고한 자신들이 받아든 것처럼 태연작약하게 말하는 것이야 말로 윤석열 대통령이 극혐해 마지않는 '가짜뉴스'가 아닐까요?


2023년 3월 21일의 윤석열 vs. 2021년 7월 19일의 윤석열

"주 60시간 이상 근무는 건강보호 차원에서 무리다."

"주 52시간이 아니라 120시간이라도 바짝 일할 수 있게 해 주어야 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2/0001863287?sid=100   https://v.daum.net/v/20210720075745892
주 60시간 이상 근무는 근로자의 건강보호 차원에서 무리라며 노동부를 무안하게 만들었던 윤석열 대통령은 정작 자신의 입으로 주 120시간도 바짝 일할 수 있게 해주어야한다고 역설한 바 있습니다. 주 120시간 근무는 월화수목금금금으로 휴일 전혀 없이 오전 9시부터 새벽 3시까지 일해야 가능한 시간입니다. (점심식사, 저녁식사 시간 각 30분으로 가정)


2023년 3월 20일의 윤석열 대통령실 vs. 2023년 3월 15일의 윤석열

"한일 정상회담에서 독도나 위안부 문제는 논의된 적 없는데, 일본 언론이 아무 근거도 없이 내지른 것이다."

"일본인들은 정직하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49/0000246020?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442770?sid=104
방일을 앞두고 일본 요미우리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일본은 선진국답게 아름다웠다", "일본인들은 정직하다"고 민망하리만치 추켜세웠던 윤석열 대통령은, 기시다 총리와의 정상회담 후 일본 언론에서 '독도'와 '위안부' 문제가 논의되었다고 보도하자 대통령실 관계자를 통해 '근거도 없는 거짓말'이라고 부인했습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아무 근거도 없이 일단 내지르고,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지면 슬그머니 빠지고"라며 "일본 언론 행태에 그런 게 있는지 모르겠지만, 대한민국 언론 행태에는 그런 게 없기를 바란다"고 말했는데요. 정직하다고 추켜세울 땐 언제고 지금은 일본 언론의 보도 내용을 믿지 말라고 강조하는 모습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혼란스럽습니다.


2022년 12월 13일의 윤석열 vs. 2023년 3월 21일의 윤석열

"주 69시간제 권고안 토대로 흔들림 없이 노동개혁 추진하겠다."

"주 60시간 이상 근무는 건강보호 차원에서 무리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17/0000877346?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2/0001863287?sid=100
작년 12월, 정부의 노동개혁 정책의 틀을 잡고 있는 '미래노동시장연구회'가 주 69시간제 권고안을 내자 윤석열 대통령은 이를 토대로 노동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노동계와 국민들로부터 질타를 받고 젊은 세대의 지지율이 급락하자 불과 3개월만에 주 60시간 이상 근무는 무리라고 말을 바꾸었습니다.

우선, 120시간 노동도 할 수 있어야 된다고 말했던 윤 대통령이 노동자의 건강을 생각한다는 건 진정성부터 의심이 가고요. 그런 과정에서 마치 노동부가 대통령의 뜻을 잘 못 이해해서 엇박자를 냈다는 식으로 책임을 떠넘기는 모양새는 참 한심스럽습니다.


2023년 3월 11일의 윤석열 vs. 2021년 12월 29일의 윤석열

(일본 강제동원 해법 비판 여론에) "모든 책임, 내가 진다."

"대통령 임기 5년이 뭐가 대단하다고 너무 겁이 없다."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58456&kakao_from=mainnews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0916399?sid=100
가해자들은 사과는 커녕 자신들이 도리어 피해자라고 주장하는데, 동의도 없는 피해자들을 윽박질러서 "좋아 빠르게 가"만 외치는 게 무슨 책임을 어떻게 지겠다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자신의 말대로 대통령은 선출직 공무원.... 임기 5년짜리 대통령이 무슨 대단한 권한이 있다고 저리 겁이 없는지요?


2023년 2월 22일의 윤석열 vs. 2022년 11월 11일의 윤석열

"아이들 건강 챙기는 건 국가 최우선 책무"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예산 전액 삭감"

https://v.daum.net/v/202302221302164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532066?sid=100
2022년 11월 정부가 제출한 예산안에는 권역별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 지원 예산이 전액 삭감되어 있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강선우 의원은 이를 지적하며 "윤석열 정부가 자랑하고 주창했던 약자 복지의 실체는 예산안을 살펴보면 약자 없는 복지"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이 사업은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 중 하나다. 그런데 그 관련 예산을 0원으로 삭감했다."라며 윤석열 정부의 표리부동한 행태를 꼬집었습니다.

2023년 2월 22일 윤석열 대통령은 서울대 어린이병원을 방문한 자리에게 "아이들 건강을 챙기는 것은 국가의 최우선 책무" 라고 말했습니다. 위에서 보았던 행태를 보면 이 말 역시 그저 듣기좋으라고 하는 립서비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2021년 10월 6일의 윤석열 vs. 2022년 12월 18일의 윤석열

"캠프에서 일하던 사람을 시킨다. 저는 그런 거(낙하산) 안 할 겁니다."

안 한다던 ‘캠프 낙하산’, 지금은 ‘낙하산 부대’ 수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160988?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6/0000047508?sid=100
윤석열의 공정과 원칙은 어디로 갔는지 모르겠습니다. 산업은행장을 시작으로 금융수장들을 이미 낙하산으로 채웠거나 채우기 위한 작업을 착착 진행해가고 있습니다. 윤석열 정권의 낙하산 현황은 '윤석열 낙하산' 메뉴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3년 2월 15일의 윤석열 vs. 2022년 12월 21일의 윤석열

"은행들은 예금/대출 마진을 줄여야"

"금융기관의 수익 창출이나 대출에 정부가 관여하는 건 관치금융"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0877879?sid=101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47931
과도한 예대 마진을 규제 기관에서 감독하는 것, 바람직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원칙없이 이런 상황에선 이런 말 하고, 저런 상황에선 저런 말을 하는 것입니다. 사실... 윤 대통령이 무슨 생각을 있어서 저런 발언들을 한 것인지도 의심스럽습니다만....


2023년 2월 15일의 윤석열 vs. 2021년 12월 21일의 윤석열

"공공요금은 상반기 최대한 동결하고 에너지 요금도 인상의 폭과 속도를 조절하겠다."

"유예된 세금과 공공요금 폭탄은 국민 머리 위로 다시 떨어질 것"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48/0000395507?sid=1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9/0002712027?sid=100
2021년 문재인 정부가 겨울 초입에 에너지 요금을 동결키로 하자, 윤석열 대선후보는 그것이 선거를 의식한 조삼모사 포퓰리즘이며 나중에 국민에게 폭탄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비난했습니다. 하지만 자신이 대통령이 되자 민심 악화를 수습하기 위하여 공공요금과 에너지요금을 동결하겠다고 하네요. 전문가들은 내년 총선을 의식한 조삼모사식 일관성 없는 정책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시장주의자를 표방하며, 모든 것은 시장에 맡겨야 한다던 자신의 원칙과 소신도 무너뜨리고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2023년 2월 6일의 윤석열 vs. 2022년 3월 10일의 윤석열

"대통령은 국회의원보다 10배의 당비를 내므로 당무와 관련해 자신의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대통령이 당 사무 정치에 관여할 수 없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14/0001252312?cds=news_edit   https://www.poli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4006
당정분리를 천명했으면서도 막상 윤핵관을 당대표로 올리기 위해 벼라별 액션을 다하는 윤석열 대통령.... 이러니 '입만 벌리면 구라'라는 비아냥이 나올 법도 합니다. 국민의힘 전당대회는 마치 윤심 경연장으로 변한 듯.....


2022년 3월 15일의 윤석열 vs. 2023년 1월 30일의 한덕수 국무총리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들에게 전기요금 인상은 큰 부담"

“공공요금, 시장에 맞서 억누르면 포퓰리즘”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20314_0001792976   https://v.daum.net/v/20230130101651828
문재인 정부의 공공요금 동결은 나쁜 포퓰리즘, 윤석열 정부의 공공요금 동결은 착한 포퓰리즘?


2023년 1월 27일의 윤석열 vs. 2022년 8월 25일의 윤석열

"난방비 폭탄은 문재인 정부 탓"

“문재인 정부 핑계 더는 안 통해”

https://www.insight.co.kr/news/427543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12163?sid=100
윤 대통령은 자기 입으로 “좋지 않은 성적표와 국제 경제위기 상황에서 우리 정권이 출범했지만 국제 상황에 대한 핑계, 전 정권에서 물려받았다는 핑계가 이제 더 이상은 국민에게 통하지 않는다” 라고 말 해놓고선 이번 난방비 폭탄 사태를 결국 전 정권 탓으로 돌리는군요. 아무리 노력해봐도 자기 능력으론 안 되니까 결국 책임 떠넘기기밖엔 답이 없나 봅니다.

심지어 난방비 폭탄은 전 정권의 책임도 아니었지요. 국제 가스 가격은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인 2022년초부터 오르기 시작했고 그래서 문재인 정부도 동결해오던 가스비를 다시 인상하기 시작했습니다.

반면 정권을 넘겨받은 윤석열 정부는 국제 가스 가격이 가장 많이 뛰었을 때 지방선거를 의식하여 되려 가스비를 동결했습니다. 정책 실패는 과연 누구의 책임인가요?

국제 가스 가격이 안정화된 지금, 반대로 가스비를 더 올리겠다고 하는 건 또 무슨 논리인가요? 그러면서 전 정부 책임을 말할 염치가 있습니까?


2023년 1월 25일의 윤석열 vs. 2022년 3월 7일의 윤석열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경제… 대통령인 저부터 영업사원으로 뛸 것입니다.”

"경제는 대통령이 살리는 게 아닙니다."

http://www.sisa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0557   https://www.ytn.co.kr/_ln/0101_202203071108441203
YTN 뉴스에 동영상으로 나와 있는 윤석열 대통령(당시 후보)의 발언을 옮겨 보겠습니다.

"경제, 경제 하는데요. 워낙 부정부패, 비리가 많으니까 국민을 잘 먹여살려주는 유능한 경제대통령이라고 해서 물타기를 하는데 경제라는 것은 대통령이 살리는 게 아닙니다, 여러분. 지금은 우리 기업이 우리 민간 부문이 정부보다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큽니다. 돈도 많이 있고요. 정부보다 훨씬 머리도 좋고 똑똑합니다. 그래서 지금은 대통령이나 정부가 그저 멍청한 짓 안 하고 정직하면 됩니다."

경제는 대통령이 살리는 게 아니고 민간이 하는 거라고 말했던 사람이, 똥줄 탔는지 지금은 대통령이 영업사원이 되어서 뛰어야 된다고 말하네요. 하지만 자기가 말한 것과 반대로, 자신이 외국 가서 멍청한 짓을 하고 다니니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2022년 3월 15일의 윤석열 대통령 vs. 2022년 9월 29일의 한덕수 국무총리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심각한 경영위기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들에게 전기요금 인상은 큰 부담이 된다"

"전기요금 훨씬 더 올라야...고통을 견디는 정책"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20314_0001792976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4800570?sid=101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 정책 실패 때문에 부득이 하게 전기요금 올려야 한다는 것처럼 책임을 떠넘겼는데, 알고 보니 문재인 정부 동안 신규 원전 건설만 없었을 뿐이지 원전 가동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었습니다. 결국 전기요금 인상의 핑계를 원전으로 돌리는 것은 LNG 등 수급 정책의 실패를 면피하기 위한 얕은 수에 불과합니다.

특히 LNG 가격 안정을 위해 존재하는 한국가스공사의 역할을 호도하여, 에너지 수입 가격을 100% 국민에게만 전가하려고 하는 악의적인 모습은 이 정부가 국민을 위하는 정부인지, 국민을 등쳐먹는 정부인지 질문을 던지게 만듭니다.

윤석열 정부는 2022년 12월 최연혜 전 의원을 한국가스공사 사장으로 임명하였습니다. 최연혜 사장은 한국철도공사 민영화 작업, 코레일공항철도 매각 등에 앞장 선 것으로 유명합니다.


2022년 5월 10일의 대통령실 vs. 2023년 1월 23일의 대통령 영부인

"제2부속실 폐지하고 영부인 '조용한 내조' 약속 지킨다."

"이제 조용한 내조 없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132159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586/0000051167?sid=100
허위 이력 논란 등으로 대국민 사과 기자회견 때의 '조용한 내조' 약속은 결국 지나가던 소나기는 피하고 보자는 심산이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항간에는 윤석열을 대통령으로 뽑은 건지, 김건희를 대통령으로 뽑은 건지 모르겠다는 자조섞인 말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2022년 7월 21일의 윤석열 vs. 2022년 7월 30일의 윤석열

"여러가지 어려운 상황... 휴가 갈 여력 없다"

"취임 후 첫 휴가... 시민들과 접촉하며 소통하겠다"

http://m.kyeongin.com/view.php?key=20220722010003900   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20730/114732949/1?fbclid=IwAR2oRgLjzbOLB5UwWWIB6H94U-HUFLsVu9c6GBJnY-mgZ8Q4a15jzJy9ubE
간다, 안 간다, 말이 계속 바뀌다가 결국에는 간 여름 휴가 기간에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 패싱 사건을 일으키고 맙니다.


2023년 1월 22일의 한덕수 국무총리 vs. 2022년 4월 21일의 한덕수 국무총리

“경제가 어려워 다들 허리띠를 졸라매면서도 어려운 이웃 위해 기부금 내는 선량하고 성실한 국민, 새해에도 최선 다해 모실 것”

"김앤장에서 전관예우 연봉 18억 받고 재산이 82억이지만, 2021년&2022년 기부금은 유일하게 적십자 회비 10,000 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776532?sid=102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204211458001
연봉과 재산은 제 수십 배인 인간이 기부금은 제 백 분의 일도 안되는 인간.... 있는 놈이 더 하다는 말이 한덕수에서 유래한 게 아닐까요?


2023년 1월 12일의 윤석열 vs. 2023년 1월 13일의 윤석열

"나경원에 대한 애정 커…사표 내도 수용할 뜻 전혀 없다."

"나경원 저출산위 부위원장·기후대사 해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252805?sid=100   https://www.fnnews.com/news/202301131730410827
당초 윤석열 대통령은 나경원 전 의원에 대한 애정이 크다며 사표를 내도 수용할 뜻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다음 날 나 전 의원이 친윤 그룹을 저격하며 사표를 제출하자, 사표 수리 대신 저출산위 부위원장과 기후대사 직에서 '더블 해임'으로 응답했습니다. 연인으로 비유하면 차이기 전에 먼저 찬 셈입니다. 뒤끝 있네요.


2023년 1월 12일의 윤석열 vs. 2023년 1월 12일의 윤석열 정부의 국방부

"자체 핵무장 가능... 모든 가능성 열어두겠다"

“자체 핵무장론 제기 아냐…고려 안 해”

https://v.daum.net/v/2023011209583001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409406?sid=100
워낙 파장이 큰 이슈이다 보니 국방부는 일단 핵무장론은 대통령의 발언을 오해한 것이라고 해명하는 모양새인데요. 대통령이 본인 입으로 "우리 과학기술로 더 빠른 시일 내에 우리도 (핵무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얘기했는데, 오해로 덮고 넘어갈 수 있을런지 모르겠습니다. 군대를 안 가봤으니 전쟁도 쉬워보이고 핵무장이 국제 관계에서 무엇을 의미하는지... 윤 대통령은 제대로 알고 발언한 걸까요?


2022년 12월 27일의 윤석열 정부 vs. 2023년 1월 9일의 윤석열

대통령실 이전 비용 얼마?…“간접비용까지 합치면 최소 수천억”

"국민만 생각하며 세금 써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195463?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90397?sid=100
잠은 한남동에서(리모델링 비용만 21억), 업무는 용산에서, 회의&미팅은 청와대에서.... 경호도 3배, 비용도 3배 들어가는 이 기형적인 시스템을 남은 임기 동안 계속 유지할 생각일까요? 그러면 도대체 왜 수천 억원의 세금을 써가면서 대통령실을 청와대에서 용산으로 옮긴 걸까요?


2023년 1월 5일의 윤석열 vs. 2023년 1월 7일의 윤석열

"과잉생산된 쌀,
정부가 수매하는 것 농민에게 도움 안된다"

“건설사 미분양주택,
정부가 사들이는 방안 검토해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771133?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578394?sid=101
윤석열 대통령은 과잉 생산된 쌀을 정부가 매수하는 것은 시장주의 원칙에 맞지 않고 농민에도 도움이 안 된다고 말했으나, 건설사들의 과잉공급으로 넘쳐나는 미분양 주택들을 세금 27조원(추정)을 투입해 정부가 매수하는 방안을 검토하라는 지시를 내립니다. 윤 대통령은 정말 시장주의자인 걸까요? 아니면 필요에 따라 이랬다 저랬다 하는 것일 뿐인 걸까요?


2022년 12월 5일의 윤석열이 다음과 같이 말하자... vs. 2022년 6월 10일의 윤석열은 다음과 같이 비판했습니다.

"화물연대의 파업은 북한의 핵 위협과 마찬가지"

"노동에 적대적인 사람은 정치인 될 수 없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22835?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239464?sid=100
화물연대의 안전운임제 요구 파업과 관련하여, SBS 김범주 기자가 지난 1997년 IMF 이후 안전운임제의 25년 역사를 훑어가며 작성한 분석 기사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이 기사는 화물연대의 안전운임제를 찬성하는 기사가 아닙니다. 왜 화물연대가 저 같은 요구를 했는지를 담담히 서술하고 있습니다. 기사 내용 중 한 대목을 소개합니다.

"1998년에 서울에서 부산까지 40피트 컨테이너를 하나 보내면, 요금이 45만 원이었습니다. 그런데 20년이 지난 2019년엔 얼마가 됐을까요? 42만 7천 원이 됐습니다."


2022년 10월 30일의 이상민 행안부 장관이 다음과 같이 말하자... vs. 2021년 8월 12일의 윤석열은 다음과 같이 비판했습니다.

“경찰이나 소방 인력 배치로 해결될 수 있었던 문제가 아니었다."

“위기 상황서 정부 의의, 존재 이유 증명 못해”

https://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1064866.html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609435?sid=100
윤석열 대통령은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 시절에 문재인 정부의 코로나19 대책을 비판하며, 이로 인해 코로나19 확진자가 하루 2,000명에 달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2023년 1월 10일 현재 코로나 일일 확진자 약 20,000명). 윤 대통령은 “위기 상황에서 정부의 존재 의의가 있는 것인데 이 정부는 정부가 존재할 이유를 증명하지 못했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하지만 그로부터 약 1년이 지나 이태원 참사가 발생하자 정부가 책임을 지겠다는 자세는 사라지고 윤 대통령이 임명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어쩔 수 없었던 일이다' 라는 발언을 하는 등 '위기상황에서 정부의 존재 의의를 증명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참사 현장을 방문한 윤 대통령은 "여기서 그렇게 많이 죽었다고?" 같은 발언을 하며, 국민의 고통과 비극에 전혀 공감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2022년 10월 4일의 윤석열 정부의 문화체육관광부 vs. 2021년 10월 31일의 윤석열

"정치적 주제를 노골적으로 다룬 작품을 선정한 것에 대해 엄격히 책임을 묻겠다"

"자유로운 정치 풍자는 국민의 권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156949?sid=103   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48887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는 풍자카툰 '윤석열차'에 대하여,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주최한 전국학생만화공모전에서 정치적인 주제를 노골적으로 다룬 작품을 선정해 전시한 것은 학생의 만화 창작 욕구를 고취하려는 행사 취지에 지극히 어긋난다"며 주최측에 대한 제재가 불가피하다고 밝혔습니다.

고등학생이 그린 풍자 카툰에 발끈해, 문화체육관광부가 나서서 해당 작품에 금상을 준 주최측을 제재하겠다고 나서는 것이 일단 비상식적이기도 하지만, 그런 겁박이 도리어 학생의 만화 창작 욕구를 꺾는 행동인데, 도무지 문체부의 정신세계를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이런 상황은 윤석열 대통령은 즐기고 있는 걸까요? 분명히 본인은 정치풍자가 대통령이 배려하고 도와주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의 당연한 권리라고 밝힌 바 있는데 말이죠. 그냥 빈 말이었던 걸까요? 어딜 감히 나를 풍자?


2022년 6월 23일의 윤석열이 다음과 같이 입장을 밝히자... vs. 2020년 10월 22일의 윤석열이 다음과 같이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어차피 검사에 대한 인사권은 장관의 제청을 받아 대통령이 하는 것이므로, 검찰총장 없이도 법무부 장관이 알아서 잘 했을 것이다."

"그런 인사가 어딨나? 법무부 장관 마음대로 하는 식은 없다. 실질적으로 검찰총장과 논의가 됐어야 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068254?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564002?sid=100
자신이 검찰총장으로서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 대립 당시에는 법무부장관이라도 검찰 인사는 검찰총장과 협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윤석열 대통령은, 자신이 대통령이 되자 추미애 장관과 똑같은 이유를 말하며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검찰총장 협의 없이도 마음대로 검찰 인사를 진행해도 된다고 입장을 바꿨습니다. 서 있는 자리에 따라 입장이 달라지는 것이 맞는 걸까요?


2021년 12월 14일의 윤석열 검찰총장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vs. 2017년 10월 23일의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은 이렇게 비판했습니다.

“공수처의 기자들 통신 자료 조회, 용납할 수 없는 짓”

"통신 자료 확인은 가입자 조회에 불과하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0780165?sid=154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0918695?sid=100
같은 통신 자료 확인인데 자신이 검찰에 몸 담고 있을 때는 아무 문제 없다고 말하다가, 검찰을 떠나서는 '용납할 수 없는 사찰'이라고 주장하는, 놀라운 태세전환입니다.





Y/104/
Copyright 2022~2025 YoonTime.kr